2019년 부동산 시장은 역대 가장 강력하다고 평가받는 9.13 대책을 비롯해 정부가 잇따라 내놓은 각종 수요 억제책들이 시장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조정기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금리인상, 주식시장 불안, 경제성장률 둔화와 가계대출 부담으로 최근 급등한 지역을 중심으로 매매가격 하향조정과 매수자 관망세가 이어지면서 거래 위축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부동산114 서성권 책임연구원은 "거시경제 불확실성과 다주택자 규제에 따른 투자심리 위축이 불가피해 보이는데다 실수요자들은 기존 아파트 매수보다는 시세보다 저렴한 분양가의 신규 청약을 노릴 것으로 예상 된다"면서 "다만, 일부 비 규제지역의 풍선효과와 함께 이른바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수요 심리로 신축, 랜드마크, 직주근접 아파트에 대한 수요 쏠림 현상은 여전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직방 함영진 빅데이터랩장 역시 "금융.세제.청약 등 강력한 수요억제책이 전방위적으로 압박하면서 주택 거래량 감소와 저성장 모드가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가격 조정이 예상되는 가운데 아파트값 하락에 따른 충격은 지역별로 크게 다를 전망이다.
서울과 분당, 평촌, 광명, 과천 등은 지난해 폭등에 따른 피로감으로 보합 또는 소폭 하향조정 될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인포 권일 리서치팀장은 "서울의 경우 올해보다 낮은 상승률을 보이겠지만, 분양시장은 똘똘한 한 채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연초부터 뜨거울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지방은 일부 개발호재가 있는 지역을 제외하고 공급과잉, 지역기반 산업 침체가 맞물려 하락폭이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특히, 경상권과 충청권 아파트는 미분양 물량이 쌓여있는 상황에서 올해 입주물량도 상당해 가혹한 한 해가 예상된다.
정부가 발표한 과천, 하남, 남양주, 인천 계양 등 3기 신도시 공급계획은 시장 불안 심리 해소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택지 조성에서 아파트 공급까지 최소 3년 이상 소요될 것으로 보여 긴 호흡이 요구된다.
또, 단순한 양적 공급에 그치지 않고 주거환경 등 수요자의 선호도들 반영한 질적 공급이 뒷받침되어야 서울의 수요포화 분산과 자체 생존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전세시장은 올해 전국적으로 38만여 가구가 입주 예정에 있어 공급이 충분해 안정적인 모습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전세수요가 새 아파트로 쏠리면서 기성 아파트의 전세값은 하락폭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