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희범 평창올림픽 조직위원장은 지난 9일 IOC(국제올림픽위원회) 총회에서 "현재까지 최소 5500만 달러의 흑자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12일 환율(1136.40원) 기준으로 환산하면 625억 수준.
흑자 보고를 받자 마스 바흐 IOC 위원장은 "(평창조직위의) 위대한 업적을 인정하여 평창올림픽 수익금 중 IOC의 지분을 한국 스포츠 발전을 위해 평창에 기부하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평창조직위의 흑자일 뿐 대한민국의 흑자는 아니라는 비판도 제기됐다. 올림픽 관련 건설비용, 올림픽 시설의 향후 운영비, 가리왕산 복원 등의 '숨은 비용' 문제를 아직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평창올림픽은 정말 흑자라고 할 수 있을까?
자료=평창올림픽 조직위원회 제공
자료=평창올림픽 조직위원회 제공
'5500만 달러(약 625억) 흑자'라는 계산부터 살펴보자.
조직위는 2016년에 '제4차 재정계획'에서는 3000억의 적자가 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대회 직전에는 발표된 5차 계획에서는 400억 수준이었다.
실제 대회 후 후원금·기부금 수입이 9억 8400만 달러(한화 1조 1182억)로 4차 재정계획보다 20% 많았으며, 자산 매각으로 얻은 수익도 계획보다 75% 컸다. 긴축재정으로 1억 8200만 달러(한화 2068억)를 아꼈다는 내용도 담겼다.
이를 종합하면 5500만 달러 흑자라는 수치가 나온다.
‘2018 평창겨울올림픽’ 폐회식 밤 강원도 평창군 평창올림픽스타디움에서 엑소의 무대가 펼쳐지고 있다. (사진=이한형 기자)
하지만 빠져 있는 금액도 상당하다.
먼저 '임금체불 문제'다. 강원건설노조는 지난달 기자회견을 갖고 "올림픽 공사에 참여했던 1000여 명의 건설노동자들이 총 100억 원의 임금 체불로 고통받고 있다"며 평창올림픽 조직위를 비판했다. 그랜드스탠드 공급 업체 노동자들, 경기장 컨테이너 판매·대여·운송 하도급업체 노동자들, 강릉역 차고지 및 환승 주차장 조성 공사 노동자들 등이 임금 체불 문제를 겪고 있다는 것이다.
조직위 측은 "그랜드스탠드에 관해서는 추가공사금액 등을 놓고 이견이 있어 공급업체와 분쟁조정 중이다. 조정 결과대로 추가 공사비를 지급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컨테이너 관련해서는 총사업비 98%를 지급한 상태이며, 해당 업체와 하도급업체 간 문제로 체불이 발생해 고용노동부 조사와 수사가 진행 중이다"고 말했다. 또한 "강릉역 차고지 및 환승주차장은 공사대금을 전액 지불했지만, 시공사에서 건설장비 임차료를 체불하고 있는 상황이다"며 "시공사로부터 분할 지급을 약속받았다"고 설명했다.
종합하면, 조직위가 향후 지불해야 할 건설노동자 임금은 10억 원에서 최대 100억대에 이를 수 있다. 정확한 금액은 조정결과가 나와야 알 수 있지만, 추가 지출이 있을 것은 확실하다.
올림픽 시설의 향후 운영비 문제도 명확하게 해결되지 않았다. 올림픽의 손익계산서에서 올림픽 시설 관리비용은 무시할 수 없는 비중을 차지한다.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때도 드미트리 코작 러시아 부총리는 흑자가 2200만 달러(한화 250억)이지만, 올림픽 관련 시설을 유지하는 데 매년 1억 1100만 달러(한화 1261억)가 소요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평창동계올림픽 12개 경기장 중 8곳은 관리 주체가 정해졌다. 반면 강릉스피드스케이트장, 강릉하키센터, 알펜시아 슬라이딩센터, 정선 가리왕산 알파인스키장 등 4곳은 아직 운영주체가 결정되지 않았다. 강릉스피드스케이트장, 강릉하키센터, 알펜시아 슬라이딩센터의 경우 현재 KDI에 연구용역을 맡긴 상태로, 5월 무렵 보고서가 발간된 후 국비지원 여부를 결정한다는 것이 정부 측 설명이다. 세 곳의 연간 운영비는 약 40억 원 수준. 장기적으로 운영비용은 눈덩이처럼 불어난다.
강원도 평창 용평 알파인 센터 노컷뉴스 자료사진 (사진=이한형 기자)
정선 알파인스키장은 존치 여부도 문제다. 가리왕산을 개발해 지은 알파인경기장은 처음부터 복원이 약속돼 있다. 하지만 정선 주민들 중심으로 일부 시설을 존치를 주장하는 목소리도 있다. 반면 강원도 측은 곤돌라, 운영도로 등 일부 시설만 남겨두고 산림을 복원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산림청과 환경단체는 당초 계획대로 100% 복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만약 강원도의 계획대로 복원된다면 690억의 비용이 들고, 산림청의 계획대로라면 더 큰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정선 알파인경기장을 계속 운영할 경우에도 적자를 면하기 어렵다. 전희경 자유한국당 의원은 지난 2월 "정선 알파인경기장을 계속 운영하면 매년 36억 8200만 원의 운영적자가 발생할 것"이라고 추산했다.
정선 알파인경기장 복원계획이 추진된다면 650억 원 이상의 비용이 추가된다. 조직위가 발표한 625억 흑자를 한 번에 상쇄할 수 있는 비용이다.
조직위의 '흑자' 계산 자체가 틀린 것은 아니다. 강원도청 관계자는 "(조직위가 산정한 잉여금은) IOC의 기준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한국이 평창올림픽으로 지출하게 된 항목은 그보다 많다는 점에서 국가 차원에서도 '625억 흑자'라고 결론짓기도 쉽지 않다.
국회에서도 평창올림픽 시설의 사후관리 대책이 빠른 시일 내 수립돼야 한다는 문제의식이 나오고 있다. 염동열 자유한국당 의원은 지난 10일 국정감사에서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게 평창올림픽 시설의 사후관리 대책 마련을 강조했다. 같은 날 안민석 문화체육관광위원장도 "(올림픽시설 사후활용대책) 내용을 19일 실시하는 평창올림픽 시설 현장점검 때까지 보고해달라"고 요구했다.
결론적으로, 조직위의 분석에 포함되지 않은 비용들을 고려할 때 조직위 차원에서는 흑자일 수 있으나 대한민국이 평창올림픽 흑자를 달성했다고 단정하기는 이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