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롯데, 중국 간판 내린다…브레이크 풀린 중국의 경제보복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NOCUTBIZ
중국이 자국의 거대시장과 세계 2위 경제력을 무기로 자국 이익에 반하는 국가나 기업에 대해 보복으로 일관하면서 유독 한국기업들이 커다란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기업도 정부도 어쩌지 못하는 속수무책의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피해기업은 롯데그룹이다. 롯데그룹은 지난 2008년 롯데마트와 롯데백화점 브랜드로 중국에 진출했다. 하지만 10년도 버티지 못하고 결국 철수를 선언하고 말았다.

롯데 관계자는 "마트에 이어 백화점도 매년 매출이 감소하고 적자가 누적돼 중국시장에서 진행중인 사업을 정리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고 말했다.

롯데그룹은 중국의 텐진과 청두, 웨이하이 등 4개 지역에 5개 백화점을 운영중이다. 롯데그룹은 중국 현지 백화점 사업에서 연간 700여억원 손실이 발생해 지금까지 5천억원 가량의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하고 있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지난 2016년까지만 해도 매출과 영업익에서 두 자리수 신장을 이어왔지만 지난해부터 매출이 떨어지고 영업익이 적자로 나타났다"며 "이유는 사드 한 가지"라고 말했다.

롯데는 사드로 보복을 당하기 전까지만 해도 중국사업이 유망하다고 판단해 선양시에서는 직접 복합쇼핑몰 건립사업을 추진했을 정도로 중국사업에 의욕적이었지만 손수 지은 선양의 복합쇼핑몰(일부는 공사 중단상태)마저 처분하려는 것은 그만큼 중국내 사업전망이 불투명하다는 것을 나타내준다.

국내 대표 유통기업들의 초기 중국시장 진출과 실패 사례는 배타성 강한 중국시장의 특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누구를 탓할 수도 없지만, 최근 있었던 롯데마트와 백화점 철수는 경제논리가 아닌 중국당국의 다소 편협한 정치논리에서 비롯된 것이어서 당사자인 롯데로서는 속이 부글부글 끓지만 마땅히 하소연 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중국정부가 한한령을 내린지 1년이 넘었지만 아직까지 풀릴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는게 현지에 진출한 기업인들의 전언이다. 국내 한 기업의 상하이 주재원은 최근 "예전과 같은 압박은 없는 듯 하나, 관광·인허가·거래처 등 방면에서 관계가 완전해소 되기에는 시간이 좀더 필요해 보인다"고 전망했다.

중국정부의 몽니에 피해를 입고 있는 국내기업은 비단 롯데그룹 계열사 뿐이 아니다. 국내 베터리 제조업계는 현지에 배터리 제조공장을 건립해 중국기업이나 마찬가지지만 중국 정부로부터 한푼의 보조금도 받지 못하는 차별대우를 당하고 있다.

국내 화장품 업계와 여행업계, 숙박업계, 면세점업계는 중국 정부가 자국민들의 단체 한국관광을 막는 바람에 된서리를 맞고 있다.

아무리 힘의 논리가 국제사회를 지배한다고 해도 이웃국가의 주권적 결정에 따를 수 밖에 없는 기업만 옥죄는 건 '알량한 힘'의 과시이자 선린우호는 뒷전인 자국중심주의에 지나지 않다는 비판도 일었다.

특히, 정치에서 비롯된 사안을 정치가 아닌 기업옥죄기와 자국 인민의 통행과 자유여행권까지 제한해 가면서 해결하고자 하는 태도가 국제사회에는 편협함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일본과의 센카쿠열도를 둘러싼 분쟁 당시에도 일본기업들은 약 2년동안 중국으로부터 불매운동이란 보복조치를 당했던 적이 있었다. 중국이 주변국과의 각종 분쟁에서 어떤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지 보여준 사례들이다.

적어도 한국기업들에게는 중국의 보복조치가 비합리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의 보복은 지속되고 있고 이를 제지할 세력도 힘도 없어 보인다. 그러는 사이 한국기업들은 하나씩 둘씩 골병이 들고 있다.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