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직원도 주민도 모르는 '지진대피소'…표지판 설치 겨우 절반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대피소 수도 부족해…시민 60%는 피할 곳 없어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문화센터. 실내구호소로 지정됐지만 어느 곳에서도 표지판을 찾아볼 수 없다. (사진=정석호 기자)

 

경북 포항 강진으로 지진에 따른 피해가 현실화됐지만 지진대피소 상당수는 안내 표지판조차 없는 상황이라 무용지물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서울 시내 2천여 개 대피소와 구호소 중 안내표지판이 설치된 곳은 절반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포항 지진 다음 날인 16일 지진에 대비해 '실내구호소'로 지정된 서울 종로구의 한 문화센터를 찾았지만, 관련 정보를 찾을 수가 없었다. 최소한의 안내 표지판조차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내구호소는 내진설계가 적용돼 지진 발생 시 주민들이 대피해 임시숙소로 사용해야 하는 곳이다. 구청이 시설과 협의해 일정 기준을 갖춘 장소를 선정한다. 재해구호법은 해당 구호소 출입구에 안내표지판을 설치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안내판 미설치는 물론, 직원조차 관련 사실을 모르고 있는 경우가 상당했다. 종로구 문화센터에서 안내를 맡는 직원에게 해당 건물이 실내구호소로 지정된 사실을 아느냐고 묻자 "잘 모르겠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실제 지진이 발생했을 경우 열악한 대피 환경을 가늠해볼 수 있는 대목이다.

운동장이나 공터처럼 지진 발생 시 몸을 피할 수 있는 '옥외대피소' 역시 사정이 비슷했다. 인근의 사직공원은 옥외대피소로 지정돼 주민들이 일단 구조물 파손과 낙하 등을 피할 수 있는 곳이지만 공원 어디에도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인근 주민들조차 사직공원이 옥외대피소라는 사실을 아예 모르거나 생소하다는 반응이었다. 종로구에 6년을 거주했다는 홍윤희(42) 씨는 "종종 시설도 이용하고 공원에도 방문하는데 대피소였다는 건 처음 들었다다"며 "지진이 나면 어디로 가야 하느냐"고 되물었다. 인근 거주민인 박모(28) 씨도 "지진이 나면 정신이 없어서 어디로 대피하는지 확실히 알아둬야 할 텐데 전혀 모르고 있었다"고 말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현재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안내표지판 설치를 완료한 곳은 단 3개 구에 불과하다. 서울시 '지진대피소 지정 현황'에 따르면 옥외대피소와 실내구호소를 합쳐 모두 2284곳의 대피소가 있지만 이 중 절반 정도만 안내표지판을 갖고 있다. 애초 이달까지 완료 예정이었던 안내 표지판 설치가 지지부진한 이유에 대해 서울시 측은 "행정상의 이유"라고 해명했다.

그나마 확보된 대피소도 서울인구와 대비했을 때 부족한 실정이다. 대피소 2284곳의 수용인원은 약 417만 명으로, 천만 명에 달하는 서울 인구의 40% 수준에 불과하다. 지진발생 시 일차적인 대피 장소인 옥외대피소 1721곳을 기준으로 보면 수용인원이 360만 명, 서울 인구의 36%가 된다.

제진수 숭실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지진 발생 시 일반적으로 옥외대피소에 모였다가 이후 실내구호소로 이동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옥외대피소를 기준으로 모든 시민을 수용할 수 있는 걸 목표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

부족한 대피소 현황과 관련해 서울시 관계자는 "시설과 일일이 협조를 해야 하고 내진 설계가 잘 돼 있는지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대피소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