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재벌비판 홍종학 '절세증여 교본'…청문회 난기류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중학생 딸, 엄마에 2억2천만원 채무, 편법 증여 의혹도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 사진=청와대 제공

 

당초 무난할 것으로 전망됐던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에 난기류가 흐르고 있다. 홍 후보자 본인과 가족의 고액 증여 문제에 학벌주의 논란까지 불거지면서 다음달 10일 청문회를 앞두고 검증 강도는 더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잇따라 제기된 의혹과 논란 모두 국민 감정에 민감하게 작용할 수 있는 사안이라는 점에서 추가 의혹 제기, 또는 여론의 향배에 따라 결과를 장담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고액 증여를 통한 재산 증식...쪼개기 증여 논란

가장 먼저 불거진 논란은 홍 후보자가 거액의 부동산 증여를 통해 재산이 급증한 점이다.

고위공직자 재산공개에 따르면 지난 2012년 홍 후보자 본인과 가족이 보유한 재산은 21억7000만원 가량이었으나 2016년에는 49억5000만원으로 늘었다. 4년새 28억원 정도 증가했는데 대부분 증여로 인한 것이었다.

홍 후보자는 2014년에 장모로부터 8억4000만원의 압구정동 아파트를 증여받았다고 신고했다. 지분을 홍 후보자와 배우자가 5대5로 나눠서 갖고 있다.

2015년에는 배우자와 딸이 서울 중구의 한 상가 건물을 홍 후보자의 장모로부터 4분의1씩 증여받았다. 이 때문에 홍 후보자 배우자와 딸은 재산이 각각 8억6000여만원이 늘었다.

홍 후보자는 정상적인 절차를 거쳐 증여세를 모두 납부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쪼개기 증여 의혹이 커지고 있다. 10억원이 넘는 증여의 경우 증여세 40%를 납부해야 하는데 이를 피하기 위해 배우자와 딸이 나눠서 증여를 받은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홍 후보자가 비록 법을 위반한 것이 아니더라도 그동안 재벌과 부의 대물림에 대해 강력하게 비판해왔던 점에서 거액 증여 자체가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다.

◇후보자 딸, 엄마에게 2억2000만원 채무...편법 증여 의혹

홍 후보자의 배우자와 중학생 딸 사이의 채무도 논란거리다. 이 채무 관계가 증여세를 내지 않기 위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최연혜 자유한국당 의원이 홍 후보자 인사청문요청안을 분석한 결과 후보자의 딸이 홍 후보자 배우자에게 두차례에 걸쳐 2억2000만원의 금전소비대차계약을 맺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자녀에게 무상으로 돈을 빌려줄 경우 과세 대상이 된다. 하지만 금전소비대차계약서 작성 등 지금 대여가 명백하게 입증될 경우 증여로 간주되지 않는다.

홍 후보자가 이같은 점을 이용해 증여세를 회피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 이와 관련해 최 의원은 "올해 말이 되면 중학생 딸은 엄마에게 1012만원의 이자를 내야 한다"며 "상식적인 모녀 관계로 납득이 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홍 후보자가 불법증여 의혹에서 벗어나려고 한다면 중학생 딸이 제때에 이자비용을 납부했는지, 또 어떻게 이자비용을 마련했는지 소상히 밝혀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홍 후보자 "명문대 안 나오면 소양 없다"에 비판 여론

홍 후보자가 학벌과 명문대 지상주의를 조장하는 내용의 과거 저술 활동도 여론의 도마 위에 올랐다. 홍 후보자는 1998년 경원대(현 가천대)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할 당시 '삼수, 사수를 해서라도 서울대에 가라'는 제목의 책을 썼다.

그는 이 책에서 '꼭 서울대에 가야 한다', '명문대를 졸업하지 않은 사람은 한계가 있다'는 등 학벌주의를 조장하는 표현을 담았다. 또 '명문대학을 나오지 않고도 성공한 사람들은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며 "꼭 서울대에 가야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논란이 커지자 홍 후보자는 "정제되지 않은 표현들로 불편함을 느끼셨을 많은 분들께 이유 여하를 떠나 사과 드린다"고 밝혔지만 비난 여론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홍 후보자는 또 2000년과 2001년 논문과 저서 등에서 재벌을 암세포에 비유했다. 그는 "재벌이 끊임없는 확장으로 중소기업을 몰락시키고 죽어야 할 때 죽지 않고 끊임없이 자금을 끌어다 써 다른 기업에 피해를 주고 결국 망할 때는 국가 경제 전체를 휘청이게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물론 이같은 입장이 대기업 중심의 경제 체제를 바로 잡는데 힘을 실어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잇따른 논란 속에 산업계 일각에서는 지나치게 과격하다는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0

0

전체 댓글 1

새로고침
  • NAVER냠냠04132021-11-30 23:51:15신고

    추천0비추천0

    백신을 접종했어도 소용이 없는 변이라고 전해들었는데, 백신패스와 위드코로나가 과연 유효할까라는 생각이 드네요. 백신 접종을 진행했건만 매년 맞아야 한다는 이야기도 그렇고 백신이 무효화된다는 변이도 그렇고 도통 코로나 상황이 나아질거 같이 보이지를 않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