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4일 오후 공개한 ICBM 발사 장면 (사진=북한 조선중앙TV 화면 캡처)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강력한 결의를 신속하게 도출해 북한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여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한미일 정상은 6일 오후(현지시간) 독일 함부르크에서 3국 정상 만찬 회동을 통해 북한에 한층 강화된 압박을 가하자는 데 뜻을 함께 했다.
또 7일 시작되는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양자회담과 다자회의를 최대한 활용해 중국과 러시아를 설득하는 작업도 함께 하기로 했다.
강경화 외교부장관은 이날 만찬 이후 브리핑을 열고 "한미 정상회담을 바탕으로 3국 정상 차원에서 북핵 문제와 관련해 긴밀한 공조 의지를 확고히 다지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이날 2시간 넘게 진행된 만찬회동에서 3국 정상은 대부분의 시간을 북한 문제에 할애했다.
특히 3국 정상은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와 관련해 가파르게 진행되는 북한의 핵탄도 미사일 능력 고도화에 우려를 표하고, 이를 시급히 차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데도 동의했다.
강 장관은 "북한 도발에 대한 제재와 압박의 고삐를 더욱 조이는 한편 북한을 비핵화의 길로 나오게 하는 위한 방안을 보다 다각적으로 강구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는 데도 인식을 같이 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만찬에서는 우리 정부가 우려했던 대북 군사적 옵션에 언급은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또 지난주 한미 정상회담에서 언급되지 않은 한반도 사드배치 문제도 논의되지 않았다.
이와 함께 한일간 역사외교 쟁점인 일본군 위안부 합의 문제에 대해서도 별다른 의견 교환은 없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북한의 추가 미사일 도발 이틀 뒤에 열린 만찬인 만큼 도발에 대한 대응에 초점을 맞췄다"며 "3국 안보협력 외 다른 것에 대해서는 언급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기 위한 중국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북한과 거래하는 중국 기업과 개인들에 대한 추가 제재(세컨더리 보이콧)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만찬에는 한국 측에서 김동연 경제부총리와 강 장관,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등이 배석했고, 미국 측은 틸러슨 국무장관, 므누신 재무장관, 맥마스터 국가안보보좌관, 일본 측은 노가미 관방부장관, 야치 NSC 사무국장, 아키바 외무성심의관 등이 배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