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대북제제 압박을 강화하고 있는 중국에 대해 고강도 비난을 쏟아낸 것은 중국에 대한 불만 표출과 동시에 중국을 놓치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 러시아가 북핵 해결을 위한 대화를 강조하는 상황에서 미·중의 대북제재 공조를 약화시키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는 분석이다.
북한 관영 매체인 조선중앙통신은 3일 '조중(북중) 관계의 기둥을 찍어버리는 무모한 언행을 더 이상 하지 말아야 한다'는 제목의 논평에서 최근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미국과 공조 중인 중국을 정면으로 비난했다.
논평은 중국의 대북제재가 북·중 관계의 근본을 흔들 수 있다고 경고하고, 북중관계와 핵을 맞바꾸지 않겠다는 입장도 명확히 밝혔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김철'이라는 개인 명의로 게재한 '조중(북중)관계의 기둥을 찍어버리는 무모한 언행을 더이상 하지 말아야 한다'라는 제목의 논평에서 "조중관계의 '붉은 선'을 우리가 넘어선 것이 아니라 중국이 난폭하게 짓밟으며 서슴없이 넘어서고 있다"고 밝혔다.
논평은 중국 당국의 입장을 대변한다는 평가를 받는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와 중문 자매지 환구시보(環球時報)가 최근 잇단 논평으로 대북 비판 수위를 높이는 것을 거론하며 "조중관계 악화의 책임을 우리에게 전적으로 전가하고 미국의 장단에 놀아대는 비열한 행위에 대해 구구하게 변명해 나섰다"고 힐난했다.
논평은 "반(反)공화국 적대세력과 한편이 되어 우리를 범죄자로 몰아대고 잔혹한 제재놀음에 매달리는 것은 조중관계의 근본을 부정하고 친선의 숭고한 전통을 말살하려는 용납 못 할 망동"이라며 중국이 미국과 공조하고 있는 대북제재를 강도 높게 비난했다.
개인 논평이기는 하지만 북한 관영매체가 중국을 직접 거론하고, 북중관계의 '근본'까지 언급하며 이처럼 고강도로 비난한 것은 전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북한의 이 같은 대중국 비난은 최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력한 대북 영향력 행사를 요구받은 중국 당국이 북한산 석탄 수입을 중단한 데 이어 추가 대북 제재를 시사하고 환구시보(環球時報) 등 관영 매체를 내세워 북한에 대한 원유 공급 중단까지 거론한 데 대한 반발로 보인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이 그동안 주변국이나 이웃나라라고 표현하며 중국을 에둘러 비판했지만 직접 중국을 거론한 것은 아주 이례적인 것"이라며 "다만 개인 필명으로 논평을 한 것은 공식 입장은 아니라는 뜻의 수위조절을 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김 교수는 "북한이 중국을 강하게 비난한 것은 역으로 중국을 놓치지 않겠다는 뜻"라면서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말이 왔다갔다 하는 상황에서 미중의 대북제재 공조를 깨려는 노림수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통일전략연구실장은 "북·중 간에는 서로 불만이 있어도 대외적으로는 드러내지 않는 것이 오랜 관행이었는데 현재는 그 같은 관행마저 깨트릴 정도로 북·중 관계가 매우 심각한 상황인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북한의 이번 논평은 최근 러시아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대화를 강조하는 상황도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북한은 논평에서 "이미 최강의 핵보유국이 된 우리에게 있어서 선택의 길은 여러 갈래"라고 주장했는데 중국을 버리고 러시아에 의지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앞서 한성렬 북한 외무성 미국 담당 부상은 지난달 30일 알렉산드르 마체고라 북한 주재 러시아 대사를 만나 한반도 정세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한편 이번 북한의 논평은 수십년 된 한중관계까지 끄집어내 한풀이 하듯 비난한 것도 눈에 띈다.
논평은 25년 전에 이뤄진 한중 수교에 대해 "경제교류의 테두리를 벗어나 정치·군사적으로까지 관계를 심화시켰다"며 "동북 3성은 물론 중국 전역을 반공화국 전초기지로 전락시켰다"고 주장했다.
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박근혜 전 대통령을 초대해 톈안먼(天安門) 광장 주석단에 자리하게 했던 사실도 거론하면서 "(한국과) 세상 보란 듯이 입 맞추며 온갖 비열한 짓을 서슴지 않았다"고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