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왜 BNK는 주가조작에 나섰나…회장1인 중심 폐해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BNK 금융지주 회장이 부산은행장·이사회 의장까지 겸임

(사진=BNK그룹 제공)

 

NOCUTBIZ
BNK 금융지주의 주식 시세 조종 사건은 성세환(65·구속) 회장의 직접적인 지시와 주도 아래 계열사인 은행과 증권사가 조직적으로 가담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금융 지주 그룹 차원에서 주가조작에 나서 적발된 것은 이번이 첫 사례로 BNK 금융지주 회장의 1인 중심체제로 그룹 조직이 이뤄져 있어 범법행위를 견제하지 못하는 구조적인 문제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BNK 금융지주는 2014년 경남은행을 인수한 뒤 계속 자본 적정성이 하락했다.

2015년 9월, 엘시티 사업에 1조 천6백억원 상당의 PF대출과 BNK 캐피탈의 모 월드 사태로 557억원 규모의 대형 금융 사고가 발생해 위험 자산이 증가하면서 자본적정성은 계속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게다가 바젤 ⅲ(은행자본 건전화 방안) 추가자본규제의 단계적 시행으로 인해 유상증자를 통해 자본을 늘려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바젤 ⅲ는 바젤 은행 감독 위원회에서 금융위기 재발을 막기 위해 내놓은 개혁안으로 기존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본 규제를 세분화 해 은행들은 2019년까지 새로 마련된 자본 건전성 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

게다가 성 회장이 2016년 3월, BNK 금융지주 회장 연임을 앞두고 있어, 연임 결정 이전에 대규모 유상증자에 성공해 부실경영책임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막는 것도 필요했다.

이에 따라 성 회장은 2015년 이내에 유상증자를 하지 않는다는 기존 입장을 뒤집어 모 투자증권을 직접 유상증자 주간사로 선정한 뒤 2015년 1월, 전격적으로 7천억원 규모의 유상증자 공시를 했다.

예상치 못한 대규모 유상증자에 대한 여파는 고스란히 주식 시장에 반영됐다.

공시 당일 BNK 주가는 22.9%까지 급락(전일 종가 기준 12,600원 →9,720원)했고, 이후에도 지속적해서 하락세가 이어졌다.

BNK금융지주 입장에서는 성공적인 유상증자를 위해 주가가 하락하더라도 큰 영향이 없게 완만하게 이뤄지고, 또 어느정도 관리를 통해 특정한 시점에서 반등하는 조치가 필요했던 것이다.

그러던 2015년 11월 25일 성회장은 BNK 그룹 계열사 대표들이 참석한 회의에서 직접 "거래처를 동워해 주식을 매수하라"는 지시를 내렸고, 이후 매수 상황을 계속 보고받았다.

이후 BNK금융지주 전 계열사가 일사불란하게 움직였다.

BNK 금융지주는 유상증자 PF팀을 꾸려 시세조종의 구체적인 방안을 수립하고, 부산은행은 자사 대출을 받은 거래업체를 통해 시세조종 자금을 조달, 이후 BNK 투자증권은 시세조종의 주문을 실행하는 삼각 구도가 조직적으로 이뤄졌다.

특히 BNK 금융지주 김모 부사장은 부산은행과 여신거래 관계에 있었던 거래 업체들의 명단을 작성한 뒤 부산은행 임원들에게 거래업체를 할당하는 등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지시했다.

BNK 투자증권은 부산은행 임원들이 거래업체로부터 확보한 자금을 건네받아 주식을 임의로 사고팔면서 주식 시세를 조종했다.

이로 인해 2016년 1월 7일과 8일 양일간 14개 거래업체들의 명의로 모두 115차례에 걸쳐 시세조종 주문이 이뤄졌다. 여기에 오간 주식만 189만주, 매수금액은 173억원에 달한다.

결국 BNK금융지주의 주식은 8,000원(2016.1.7 최저가)에서 8,330원(2016년 1.8)최고가까지 올랐다.

BNK 금융지주가 계열사를 동원해 조직적으로 주식 시세 조종에 나선 것은 BNK금융지주 회장에게 모든 권한이 집중돼 있어서 견제할 방안이 없기 때문으로 꼽힌다.

BNK 금융지주 회장은 부산은행장과 이사회 의장까지 겸하는 1인 중심체제다. 이 때문에 일단 회장이 하달한 지시를 거스르기 힘들고 범법행위를 견제하지 못해 이같은 구조적인 문제가 이번 사태를 불렀다는 분석이다.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