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AI, 총체적 부실]③ 방역당국, AI 재발률 축소.. 방역책임회피 의도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2014년 11월 이후 재발생 농장 대상, 재발생률 절반 축소

 

지난달 16일 발생한 조류인플루엔자(AI)가 사상 최악의 피해를 이어가고 있다. 급기야 정부는 AI 발생 한 달 만인 지난 16일 위기경보를 최고 수준인 ‘심각’단계로 격상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방역당국이 AI 재발생 농장을 축소하는 등 처음부터 가금류 농장을 허술하게 관리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AI 재발생 현황을 조사한 결과, 지난 14일 기준 양성 확진판정을 받은 157개 농장 가운데 재발생 한 곳은 19개 농장이라고 밝혔다.

이 중 육용오리 농장이 67개 가운데 15개로 가장 많고, 산란계 농장은 53개 가운데 1개 농장에서 재발생했다. 이밖에 종계 1개 농장, 종오리 2개 농장에서 재발생했다.

단순 통계 자료만 놓고 보면 AI 재발생률은 12.1%에 불과하다.

그런데, 문제는 비교 대상 기간을 축소 왜곡했다는 점이다. 검역본부는 2014년 11월 1일 부터 2016년 11월 15일까지 발생한 AI 양성농가 가운데, 이번에 다시 발생한 농가만을 대상으로 재발생률을 산정했다.

이는 지난 2014년 발생한 AI가 1차 시기인 1월 16일부터 7월 29일 기간에 집중적으로 발생해 역대 최대인 212개 농장이 양성판정을 받았지만, 이들 농장을 제외한 것이다.

당연히 AI 재발생률을 축소했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실제로 2014년 11월 이전까지 포함할 경우에는 전체 재발생 농장은 40여개로 늘어나 재발생률이 무려 26%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검역본부가 이처럼 재발생률을 축소한 것은 초기 발생 원인을 철새 탓으로 몰아가면서 가금류 농장과 정부의 방역 소홀 책임을 덮으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이에 대해 검역본부 관계자는 “AI가 2003년부터 발생했는데 이 때부터 중복발생 농장을 따지자면 안 들어가는 농장이 없을 것”이라며 “사실 중복발생 얘기만 나오면 농장의 반발이 심하다”고 전했다.

그는 그러면서 “개정된 살처분보상금 지급 규정에 맞춰 최근 2년 동안의 재발생 현황만 관리하다 보니, 수치가 줄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2014년 1월 이후 발생한 393개 농장들을 추적해 봤더니 재발생 농장들은 대부분이 음성 맹동처럼 철새도래지 인근에 집중돼 있었다”며 “재발생 농장에 대해선 기간에 상관없이 별도 관리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