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고용노동부 제공)
수년째 10% 수준에 그치고 있는 노동조합 조직률이 지난해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업장 규모가 작을수록 노조를 조직하기 힘들어, 100명 미만의 사업장은 노조 조직률이 2.7%에 불과했다.
고용노동부가 26일 발표한 '2015년 전국 노동조합 조직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노동조합의 수는 5794개, 소속된 조합원 수는 193만9천명으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노조 수가 349개, 조합원 수도 3만3천명이 더 늘었다.
하지만 노조를 조직할 수 있는 근로자 수는 1902만7천명으로 1년 전보다 59만8천명이 더 증가해 사실상 노조 조직률은 2014년 10.3%에서 외려 지난해 10.2%로 소폭 감소했다.
노조 조직률은 1989년에 19.8%로 가장 높았고, 이후 계속 감소추세를 보이다가 2010년 9.8%로 한 자릿수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2011년부터 복수노조 허용 등의 영향으로 10.1%로 소폭 증가한 이후 2012~2014년까지 10.3%를 유지해왔다.
그러던 것이 지난해에는 오히려 0.1%p 더 감소해, 노조 조직률이 좀처럼 증가하지 못하고 횡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노동조합 조직률은 300명 이상 사업장에서는 62.9%에 달하지만, 100~299명 사업장으로 가면 12.3%로 급격히 떨어진다. 그리고 30~99명 사업장은 조직률이 2.7%로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노동조합을 조직할 수 있는 노동자는 늘어났지만 사업장 규모가 영세한 곳이 많아 노조를 조직할 역량이 갖춰지지 않은 곳이 대부분인 탓이다.
부문별로는 공무원 부문의 노조 조직률이 66.3%로 가장 높았고, 교원부문 14.6%, 민간부문 9.1% 순이었다.
노조 조직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민간 부문에서 노조가 더 활발히 조직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 2006년 노조조직률이 25.9%에 달했던 교원 부문에서 지속적으로 조직률이 떨어지고 있는 점도 주목된다.
한편, 상급단체별로는 전체 조합원의 43.5%이 가입한 한국노총의 비중이 가장 컸고, 민주노총은 32.8%, 미가맹이 23%로 나타났다. 상급단체에 가입하지 않고 미가맹으로 남아있는 노조 비중이 23%로 올라 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