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자료사진)
미래 농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팜에 대기업들이 잇따라 진출하면서 국내 농산물 생산 시장에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 이들 대기업은 스마트팜의 ICT 기술과 장비를 통해 이익을 창출하겠다는 전략이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스마트팜 시장은 네덜란드가 석권하고 있는데다, 국내에선 중소기업들이 이미 10여년 전부터 기술개발에 나서 이제 막 성장하고 있는 단계로 대기업들이 뒤늦게 스마트팜에 뛰어든 것에 대한 시선이 곱지않다
더구나, 대규모 스마트팜이 조성되면 딸기와 토마토 등 신선 채소를 생산하는 기존 영세 농가에 적잖은 타격이 예상된다. 자칫 소작농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 LG, SK그룹 스마트팜 설비시장 진출…골목상권 파괴 논란
스마트팜은 컴퓨터 조작을 통해 온실의 습도와 온도, 양액 등을 자동제어하는 농장을 일컫는다. 이렇다 보니, 스마트팜을 설치하기 위해선 컴퓨터와 복합환경제어기 등 다양한 장비와 기술이 필요하다.
세계 스마트팜 설비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22조 원 정도로 추산되며 오는 2020년에는 34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스마트팜 설비시장은 네덜란드 등 유럽 국가들이 주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10여개 중소기업들이 자체 기술을 개발해 도전장을 내민 상태다.
그런데, 뒤늦게 국내 대기업들이 스마트팜 설비시장에 뛰어들었다. SK그룹은 자회사인 SK텔레콤을 통해 스마트팜 설치사업에 진출한데 이어 LG그룹도 자회사인 LG CNS를 통해 시장에 진출했다.
하지만, 문제는 국내 스마트팜 시장 규모가 대기업들이 참여할 만큼 크지 않다는 사실이다.
국내 스마트팜 시장 규모는 사업 첫해인 지난 2014년 시설원예는 330ha, 축산은 80가구를 당초 목표로 설정했지만 실제 60ha, 30가구에 머물렀다.
이어 지난해에도 시설원예 364ha, 축산 156가구가 새로 스마트 농업을 시작했을 뿐이다. 우리나라에서 그마나 현대화된 시설원예 면적의 겨우 4% 정도 수준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시설원예 농가당 온실 규모가 평균 0.6ha로 농업선진국인 네덜란드 1.4ha의 절반도 되지 않는다"며 "시설원예의 기본 인프라 자체가 취약하다 보니 이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스마트 팜도 기대만큼 확산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결국, 국내 스마트팜 시장을 놓고 LG와 SK가 제 살 깎기 경쟁을 벌여야 한다는 얘기다. 또한, 이미 자체 기술을 확보한 국내 중소기업이 대기업에 밀려 고전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 대기업 농업 참여…농산물시장 판도 변화, 농민 소작농 전락LG CNS는 여기에 한 술 더 떠, 3800억원을 투자해 새만금에 76ha 규모의 '스마트바이오파크'를 설치하고 토마토와 파프리카 등 농산물을 재배할 계획까지 갖고 있다.
시설 설치는 LG가 맡고, 농산물 생산과 판매 등 농장 운영은 해외 자본이 참여하는 별도의 농업법인회사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이럴 경우, 국내 농민들은 외국 회사에 고용된 소작농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국농민회총연맹 관계자는 "LG가 꼼수를 부리고 있다"며 "대기업이 농업분야에 진출하는 것에 대해 농민들이 반발하자, 외국회사를 만들어 발뺌을 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수 십만평의 스마트팜에서 농사를 지으려면 농민들을 고용해야 하는데, 결과적으로 우리 농민들이 외국회사에 종속된 노동자가 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농민단체들은 LG 바이오파크에서 생산된 토마토와 딸기 등 신선 농산물이 국내 시장에 유입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최계조 토마토생산자협의회장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동부그룹이 포기한 화옹유리온실을 우일팜에서 인수해 토마토를 생산하는데, 전량 수출하겠다고 했지만 현재 국내시장에 팔고 있다"며 "LG가 생산된 농산물도 국내시장에 반입될 게 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LG CNS 관계자는 "새만금에 바이오파크를 설치하려는 것은 스마트팜 설비시장에서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것"이라며 "생산된 농산물은 해외 유통망과 계약재배를 통해 전량 수출 등의 방법으로 국내 시장에 공급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한편, '국민공감 농정위원회'는 기업의 농업 참여에 따른 논란과 관련해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사실상 면죄부를 줬다.
이 중 제1항이 '기업은 자본·기술 투자를 통한 농업발전을 지원하고, 농업계는 기업의 이러한 투자가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경쟁력 제고 등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협력한다'라고 적시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