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영화계에 응답하다? "보이콧 굉장히 우려돼"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지난해 10월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 전당에서 ‘제20회 부산국제영화제(BIFF)' 개막식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황진환 기자/자료사진)

 

묵묵부답으로 일관하던 부산시가 드디어 침묵을 깼다. 부산국제영화제 독립성과 자율성 훼손 논란에 대한 영화계의 '보이콧' 결정에 직접적으로 호소를 하고 나선 것이다.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부산시는 20일 이례적으로 서울 중구 세종문화회관의 한 식당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2014년 영화 '다이빙벨'을 둘러싼 표현의 자유 논란 이후, 또 다시 영화계와 갈등의 골이 깊어지자 자리를 마련한 것이다.

부산국제영화제 지키기 범 영화인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범 영화인 비대위)는 지난 18일 각 영화인 단체별 회원들의 뜻을 모아 독립성과 자율성이 보장되지 못하는 올해 부산영화제에 불참하기로 결정했다.

범 영화인 비대위에는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한국영화감독조합,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등이 포함된 9개 직능단체가 몸담고 있다. 결국 부산영화제의 레드카펫이 텅 비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현실이 된 셈이다.

부산시 김규옥 경제부시장은 이에 대해 "영화계의 '보이콧'을 굉장히 우려하고 있다. 개최는 부산영화제 집행위원회(이하 집행위)가 하는 것이고, 영화제가 잘 진행되도록 지원하겠다는 우리의 방침은 변함이 없다"고 말문을 열었다.

부산시 역시 하루 빨리 영화제가 정상화되기를 간절히 바라는 주체 중의 하나다. 김 부시장은 부산영화제를 '20년 간 가슴에 품고 키워 온 자식'이라고 칭했다.

그는 "저희도 최대한 빨리 집행위와 정관개정을 논의하고, 합의해서 영화제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기를 강력하게 희망하고 있다"면서 "영화제는 물론 전 국민의 것이고, 소중한 문화적 자산이다. 부산시의 관점에서는 자식처럼 소중한 존재다. 향후 100년 동안 발전할 수 있는 영화제가 되기를 바란다"고 답답한 심경을 토로했다.

영화계에 먼저 화해의 제스처를 취하는 것도 잊지 않았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