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청 “2021년까지 AESA레이더 공대지 모드 개발”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공대공 모드는 2019년 완료…여야 의원들 회의적 반응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서 장명진 방위사업청장이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윤성호 기자/노컷뉴스)

 

미국 정부의 핵심기술 이전거부로 한국형전투기(KFX) 사업 전망이 어두워진 가운데, 당국은 4대 항전장비 중 난제로 꼽히는 능동주사배열(AESA) 레이더를 2021년까지 개발 완료할 수 있다고 장담했다.

장명진 방위사업청장은 8일 국회 국방위 국정감사에서 “2021년까지 공대지(空對地) 능력까지 포함해 AESA 레이더 개발을 완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2024년이 목표였던 것을 2021년으로 당겼는데, 그럼 공대지 능력을 제외하는 것이냐’는 새정치민주연합 김광진 의원의 질의에 공대지 모드까지 다 포함된 계획이라고 밝혔다.

장 청장은 “본래 계획이 2024년까지 5년간 공대지 모드를 개발해 2025년부터 실전 배치하는 계획을 당겨서 2021년까지 한다”고 강조했다. 방사청 실무자도 “1단계 개발과 2단계 개발을 병행해 2021년까지 끝낸다는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공대공(空對空) 모드는 이보다 2년 앞서 2019년까지 개발을 완료한다는 게 군 당국의 방침이다. 정홍용 국방연구소(ADD) 소장은 “2019년까지 공대공 능력을 갖춘 AESA 레이더 개발을 완료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적외선 탐색 및 추적장비(IRST), 전자광학 표적추적 장비(EO TGP), 전자파 방해장비(RF Jammer) 등 나머지 3대 핵심장비도 국내기술 개발을 통해 확보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방사청은 이들 4대 장비를 전투기에 체계통합하는 기술의 이전을 미국 정부에 승인 요청했다 거부당했다.

정 소장은 “4가지 장비 개발과 이들 장비를 체계통합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문제가 되는 것은 체계통합 기술이고, 4가지 장비는 모두 국내개발이 가능하다”면서 “다만 AESA 레이더는 부분적 해외협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당국은 AESA 레이더 기술을 2006년부터 개발해왔고, 현재 지상시험을 실시 중이라며 개발을 자신했다.

하지만 여야 의원들은 이같은 당국의 호언장담에 회의적 반응을 보였다. 새누리당 유승민 의원은 “미국의 수출승인 없이도 2021년까지 할 수 있으면 왜 미국에 매달렸느냐”고 반문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광진 의원도 “방사청장이 원하면 온 우주가 도와줄 것이라고 보느냐. ‘만들 수 있다’는 선언만으로는 안 된다”고 비판했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