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고위급 접촉 예정에도 軍, 서해 5도 주민 대피령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백령면, 연평면, 대청면 주민 5천234가구 9천975명 대피

북의 추가도발이 우려되는 22일 오후 경기 연천군 모처에서 아군의 다연장로켓이 준비태세를 갖추고 있다. (사진=박종민 기자)

 

22일 오후 6시 남북간 고위급 접촉이 예정된 가운데서도 경기와 강원 접경지역을 포함한 인천시 강화군 교동면에 내려진 주민 대피령이 서해 5도가 속한 옹진군에도 내려졌다.

옹진군은 "군 당국의 통제에 따라 22일 오후 4시까지 옹진군 3개 섬 주민에 대피 명령을 내렸다"고 이날 밝혔다.

이에 따라 옹진군 백령면 2천978가구 5천410명, 대청면 924가구 1천655명, 연평면 1천332가구 2천910명 등 총 5천234가구 9천975명은 가까운 대피시설로 이동하고 있다.

3개 면사무소는 군 당국의 요청으로 마을 방송을 통해 "북한의 포격 도발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대피시설로 이동하라"고 주민들에게 전했다.

옹진군 관계자는 "대피소로 이동하는 주민들은 담담한 표정으로 군 당국과 면사무소 직원들의 안내에 잘 따르고 있으며 거의 대피를 끝냈다"고 말했다.

옹진군은 백령면 26개, 연평면 6개, 대청면의 9개 대피시설에 비상사태에 대비해 물과 비상식량, 이불과 선풍기 등을 구비했다.

옹진군은 지난 2010년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이후 3개 도서에 크고 작은 규모의 대피시설들을 갖췄다.

주민들도 그동안 남북한 접경지역의 긴장 상황 때마다 대피한 바 있으며, 이번 북한의 서부전선 포격 도발에 따른 대피는 이날 처음이다.

앞서 이날 오후 12시 55분쯤 인천 강화군 교동면 111가구 210명 주민에게 대피명령이 내려졌다.

교동면은 북한 접적 지역이면서 관내 인사리에는 대북 확성기가 설치돼 있어 북한이 포격 도발할 경우 조준 가능성이 큰 지역이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