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롯데가 숨겨놓은 계열사 있는지 추적 중"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자료사진 (박종민 기자)

 

롯데그룹 신격호 총괄회장이 국내 계열사들을 일본의 해외 계열사를 통해 지배하고 있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공정거래위원회가 롯데그룹에 대한 정확한 소유구조 파악에 나섰다.

신격호 총괄회장 등 총수일가가 소유하고 있는 일본 계열사를 통해 국내 계열사 지분을 갖고 있는데도 이를 신고하지 않은, 이른바 '숨어있는 국내 계열사'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조치다.

이번 조사에서 숨겨놓은 국내 계열사가 있는 것으로 드러날 경우, 신격호 총괄회장에 대한 사법처리(벌금형)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공정위는 5일, 롯데그룹의 해외 계열사 소유 실태와 지분, 출자현황 등을 파악 중이며, 지난달 31일에 관련 자료를 이미 요청한 상태라고 밝혔다. 자료제출 시한은 오는 20일까지다.

 

공정위는 롯데그룹으로부터 자료를 넘겨받는 즉시, 신격호 총괄회장 등 총수일가가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일본 광윤사 등 해외 계열사의 지분구조를 분석할 계획이다.

광윤사가 롯데그룹 총수일가가 지배하는 해외 계열사로 밝혀지면, 이어서 광윤사나 다른 해외계열사를 통해 국내 계열사에 지분을 투자한 것이 있는지를 조사하게 된다.

현행법에 따르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대기업집단)으로 지정되면 동일인(그룹 총수)이 지배하는 국내 계열사에 대한 정보를 모두 공정위에 제출해야 한다. 이는 동일인이 소유한 해외 계열사를 통해 국내 계열사를 지배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동일인인 신격호 총괄회장이 지분은 없지만, 신 회장이 일본 광윤사와 일본롯데홀딩스를 통해 경영권을 행사하고 있는 호텔롯데가 롯데의 국내 계열사로 편입된 이유다. 공정위는 호텔롯데처럼 해외 계열사를 통해 소유하고 있으면서도, 신고하지 않은 국내 계열사가 더 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공정위는 롯데그룹에서 자료를 넘겨받는대로 해외 계열사를 포함한 전체 지분구조에 대해 조사할 계획이다. 조사 과정에서 누락된 국내 계열사가 나올 경우 롯데그룹 신격호 총괄회장에 대한 형사처벌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공정거래법(68조 4호)은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지정과 관련한 자료요청에 대해 정당한 이유없이 자료제출을 거부하거나 허위자료를 제출한 경우 1억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