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형제의 난' 홀딩스 주총서 첫 승부…'왕관'은 누구에게?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복잡한 지분 구조…계열사 경영권 확보가 관건

신격호 롯데그룹 창업주(가운데), 차남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왼쪽), 장남 신동주 전 일본롯데 부회장

 

롯데그룹 후계 자리를 놓고 신격호 총괄회장의 차남인 신동빈 회장과 장남인 신동주 전 부회장 간 다툼이 치열하다.

이번 분쟁의 첫 승부는 롯데그룹 지배구조의 꼭지점에 있는 일본 롯데홀딩스의 주총에서 결정난다.

현재 이사회를 장악한 신동빈 회장 측은 아버지 신격호 이사의 해임을, 신동주 전 부회장 측은 신 회장 측 이사진의 해임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사 해임을 위해서는 3분의 2 이상의 지분이 필요하다.

신동빈 회장과 신동주 전 부회장은 서로 3분의 2 이상의 지분을 확보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양측의 이런 주장이 가능하려면 최대주주로 알려진 광윤사(27.65%)의 지분이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만 광윤사의 지분은 아직까지 베일에 가려져 있다.

일본 롯데홀딩스는 신 회장과 신 전 부회장이 각각 10%대 후반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는 정도만 알려졌을 뿐 정확한 지분 관계는 외부에 공개되지 않고 있다.

롯데홀딩스 주총에서 승부가 나더라도 상황이 종결되는 것은 아니다. 그룹 구조상 롯데홀딩스만으로는 그룹을 지배하기 어렵기 때문에 계열사 경영권을 더 많이 확보하는 쪽이 '왕관'을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

한국 롯데그룹을 지배하는 호텔롯데는 롯데홀딩스가 19.07%의 1대주주다.

또 한국 롯데에서 가장 큰 규모의 회사는 롯데쇼핑으로 연간 매출액이 그룹의 절반 가량인 30조 원에 육박한다. 개인주주 지분율은 신동주 13.45%, 신동빈 13.46%로 차이가 거의 없다.

이에 따라 호텔롯데(8.83%), 한국후지필름(7.86%), 롯데제과(7.86%), 롯데칠성음료(3.93%) 등 1% 이상의 지분을 가진 계열사들의 이사회를 장악하는 사람이 승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

호텔롯데 이사회는 신격호 대표이사, 신동빈·신동주·신영자 이사 등 일가와 3명의 전문경영인 대표이사 등 7명이다.

한국후지필름은 롯데쇼핑이 최대주주인 롯데상사가 지배하며 이사회는 모두 전문경영인이다.

롯데제과는 신 회장이 대표이사로 있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