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은 프로포폴, 병원과 보건소의 사각지대
- 프로포폴 도난 가능성도 높은 상황
- 사용허가증 있을 때만 프로포폴 사용토록해야
■ 방송 : CBS 라디오 <박재홍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박재홍 앵커
■ 대담 : 조수영 (대한성형외과의사회 홍보이사)
약 2년 전 여성 연예인들을 중심으로 파문을 일으켰던 프로포폴의 유혹, 이제는 의료진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 실태는 어떻고, 관리상의 문제는 없는 것인지, 성형외과 의료진들의 목소리를 들어봅니다. 대한성형외과의사협회 조수영 홍보이사를 연결합니다. 이사님, 안녕하십니까?
◆ 조수영> 안녕하십니까? 조수영입니다.
◇ 박재홍> 의사님도 현재 성형외과 개업 의사시죠?
◆ 조수영> 지금 현재 성형외과 개업하고 있습니다.
◇ 박재홍> 지금 문제가 되고 있는 프로포폴, 의료적으로 분명 필요한 점도 있는 약이죠?
◆ 조수영> 수면유도제로서 전신마취할 때 꼭 필요하고요. 여러 가지 이제 마취나 수면을 할 때 굉장히 유용한 그런 약품으로 알고 있습니다.
◇ 박재홍> 이게 악용이 돼서 문제인데, 그러면 어떤 면에서 보면 마약과도 같다고 볼 수 있을까요?
◆ 조수영> 현재 마약으로 분류되고 있고요. 거의 마약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박재홍> 현재 각 성형외과 병원에서는 이 재고관리가 어떻게 되고 있는 건가요?
◆ 조수영> 현재 보건소에서 프로포폴 관리 장부를 발부하고 있고요. 그 장부에 환자의 사용량과 환자의 기록 등을 일일이 다 기록하고 있고, 거기에 대해서 의사가 도장을 찍어서 확인을 하고 있는 그런 형태입니다.
◇ 박재홍> 이렇게 관리가 철저히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게 불법적으로 투약이 되는 일이 있단 말이죠. 이게 왜 가능한 건가요?
◆ 조수영> 거의 없긴하지만, 일부 의료진의 경우 환자한테 투약을 하고 나서 일부 남은 프로포폴을 좀 남겨놨다가 본인이 이제 몰래 사용하는 그런 경우를 말할 수가 있겠습니다.
◇ 박재홍> 그런데 이제 처방 기록도 있고 또 재고관리도 명확히 되어 있는데 남겨서 쓴다는 게 이해가 안 되는데요. 어떻게 쓰는 거죠?
◆ 조수영> 보통 한 환자한테서 한 앰플을 사용하고 나서 기록을 한다고 하는데요. 보통 한 앰플 중에 한 20밀리리터 정도가 되지만 거기에서 실제 환자한테는 실질적으로 10밀리리터를 쓰고 남는 10밀리리터는 버리게 될 때 폐기처분을 해야 되는데, 그걸 폐기처분하지 않고 몰래 모아놨다가 사용하는 그런 경우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박재홍> 원래 이렇게 남게 되면 어떻게 처리해야 되는 건데요?
◆ 조수영> 원래는 보건소에 신고를 해서 그 남은 것을 보건소에서 폐기처분하게 되어 있는데 그것을 지키는 병원은 별로 없고요. 그리고 그것을 관리, 감독하는 보건소도 없는 그런 형태로 알고 있습니다.
◇ 박재홍> 아니, 이렇게 마약으로 분류돼 있는 그런 약품인데, 그런 약품들이 제대로 폐기가 됐는지 확인하는 절차가 전혀 없다?
◆ 조수영> 그렇죠. 지금까지는 그런 절차가 없었기 때문에 그것을 관리 감독하는 보건소의 인력도 부족한 편이고.
◇ 박재홍> 그러니까 의료진만이 알 수 있고 의료진이 조절 가능한 사각지대가 존재하는 거네요.
◆ 조수영> 그렇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 박재홍> 그래요. 상황이 이런 정도인데, 그러면 아예 프로포폴이 분실되거나 도난되는 경우도 발생하는 건가요, 그러면?
◆ 조수영> 의료진에 의해서 그것을 관리 감독돼야 되는데, 의료진이 경찰이나 그런 수사관이 아니다 보니까, 아마도 그것을 불법적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에 의해서 그것이 도난당하거나 하는 그런 가능성은 높다고 봐야죠.
◇ 박재홍> 이제 홍보이사님도 성형외과 개업 의시지만, 어떤가요, 실제로 의료진들이 이렇게 직접 프로포폴을 투약한다거나 빼돌린다는 소문이나 사례를 들으신 건 있나요?
◆ 조수영> 간간이 이제 의사들 웹사이트에서 그런 일이 발생한다고는 가끔 가다 들을 수는 있습니다.
◇ 박재홍> 그렇다면 관리부처인 보건복지부에서는 이런 현황을 파악하거나 점검에 나서서 실제로 단속된 건 별로 없다면서요?
◆ 조수영> 보건소에서 나와서 현장점검을 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나왔을 때는 굉장히 철저하게 관리 감독을 하기는 합니다. 하지만 보건소의 인원에 제한이 있다 보니까, 인력에 제한이 있다 보니까, 많은 의료기관을 철저하게 그리고 이제 정기적으로 관리 감독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 박재홍> 그런데 이사님이 지금 15년 의사 생활하셨는데 그러면 의사 생활하실 동안 몇 번이나 왔습니까?
◆ 조수영> 1년 전에 딱 한 번 나왔었죠.
◇ 박재홍> 15년 동안 딱 한 번. 그래서 최근에 문제가 된 후 향정신성의약품의 경우에는 바코드 대신에 반도체칩을 부착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습니다마는, 실제로 변화된 게 있습니까?
◆ 조수영> 실질적으로 제가 이제 현장에서 개업을 하고 있지만 거기에 대해서는 어떤 언급도 없었고요. 단 심해지지는 않고 있습니다.
◇ 박재홍> 더 많은 사건과 사망 사건이 일어나기 전에 대책이 필요할 것 같은데, 그럼 어떤 대책이 있어야 이런 프로포폴 악용사례가 줄 수 있을까요?
◆ 조수영> 제 개인적인 소견으로는, 프로포폴은 사실은 우리나라에서 널리 쓰인지가 한 보통 약 10년 전부터이거든요. 그런데 10년 전이라고 하면 사실 지금 개업하고 있는 선생님들이 학생이나 인턴, 레지던트 교육받을 때 사용하지 않은 그런 주사제입니다. 그러다 보니까 거기에 대해서 사용 방법이나 위험성에 대해서 어느 정도 인식이 조금 부족한 그런 형태인데, 지금이라도 늦지 않으니까 의사 선생님들을 대상으로 철저히 교육해서 어느 정도 교육을 받은 분들은 거기에 대해 사용허가증을 줘서 사용허가증이 있는 분들이 프로포폴을 사용한다든지, 그 프로포폴을 사용할 때도 시간이 중요한데 보통 짧은 시간에 하게 되면 아주 안전하고 좋은 그런 수면유도마취제지만 그것이 길게 되면 굉장히 위험할 수도 있기 때문에 보통 사용시간이 한 30분을 넘어간다든지, 1시간을 넘어가는 그런 프로포폴 사용시간일 때는 마취과 전문 선생이 꼭 있어야 된다는 그런 규정을 둔다고 하면 그것도 하나의 좋은 방법에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 박재홍> 사용허가증 문제라든지 또 보건복지부의 관리 더 필요하다는 말씀입니다. 잘 들었습니다.
◆ 조수영> 네, 수고하셨습니다.
◇ 박재홍> 대한성형외과의사회 조수영 홍보이사였습니다.
[박재홍의 뉴스쇼 프로그램 홈 바로가기]박재홍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