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자료사진)
정부가 우리은행 지분을 여러 주주에게 쪼개서 파는 방식을 추진하기로 한 가운데 이번에는 민영화가 성공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정부가 우리은행 민영화를 두고 고심 끝에 꺼내든 다섯번째 카드는 결국 '쪼개팔기'였다.
과점주주 매각은 4%에서 10%의 지분을 가진 주주들이 이사회를 통해 경영에 각자 참여하는 지배구조를 형성하도록 지분을 파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런 형태의 매각도 성사 가능성이 불투명하다는 전망이 높다.
여러 주주가 주도권을 나눠 갖게 되면 비효율성이 높아지는데다 주주간 분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구체적인 매각 일정이 잡히지 않은 것도 현실적으로 매각 자체가 어렵지 않느냐는 관측을 뒷받침하고 있다.
은행 업계 상황이 좋지않아 사들일 곳이 있을지도 미지수다.
한 경제연구소 관계자는 "과거에는 팔겠다는 의지마저도 없었는데 이제는 한발짝 진보한 거 아닌가 생각이 든다"며 "정부의 의지는 좋은데 결국 누가 사느냐의 문제"라면서 "재벌들도 은행에 자기 돈을 넣고 예금하듯이 투자하겠냐 현실적으로는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섣부른 조기 민영화 보다는 은행의 가치를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금융연구원 김우진 박사는 "향후 민영화 일정이 지연될 가능성에 대비해 우리은행의 기업가치가 제고될 수 있는 여러 방안들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우리은행 매각의 걸림돌로 지적되는 관치금융에 대한 우려를 없애는 것이 먼저라는 시각도 있다.
한국투자증권 이철호 연구원은 "우리은행의 주가가 올라서 기업가치가 제고되는 것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관치금융에 대한 우려가 먼저 해소돼야 한다"며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선언했던 경영정상화 이행약정(MOU) 개선 등이 실제로 행동으로 연결되면서 숫자로 드러나야 가능하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