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평가단 "지역감염 없다…정부 대응 잘해"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산발적 지역감염 대비해야…의료쇼핑-집단문병 문화 영향"


[YouTube 영상보기] [무료 구독하기] [nocutV 바로가기]


세계보건기구(WHO) 합동평가단이 13일 한국 정부의 메르스 방역 대응에 대해 "높은 수준"이라고 칭찬하면서 "현 시점에서 지역 감염도 없다"고 밝혔다.

잇따른 '구멍 방역'으로 3차 유행이 코앞에 온 시기에 나온 정부와의 합동 조사인 데다, 이번 사태를 보는 국민 다수의 시각과는 상반돼 논란이 예상된다.

WHO 합동평가단은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한국 정부가 (메르스에) 대응하는 노력은 매우 높은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후쿠다 게이지 WHO 사무차장은 "국제적 관점에서 봤을 때 신종 전염병이 처음 발생하면 어려움이 있다"며 "한국에서 이뤄진 (메르스) 대응 작업과 한국 정부가 메르스를 대응하는 노력이 높은 수준에 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질병관리본부가 정말로 훌륭한 리더십과 전문성을 보여줬다"는 말도 덧붙였다.

평가단은 '정보 비대칭'으로 인한 '불필요한 루머'를 혼란의 원인으로 지목했다.

합동평가단 한국측 단장인 서울대 의대 이종구 교수는 "많은 혼란을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인 정보의 비대칭 때문에 위기상황이 일어날 수가 있다"며 "현재 우리가 아는 것과 차이가 많아서 불필요한 루머가 많이 생겨나 (메르스를) 대응하는 데 어려웠다"고 했다.

이어 "투명하고 신속한 정보 공개가 제일 중요했는데 이 부분이 제일 실패한 원인 중에 하나"라며 "위기 관리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거버넌스'가 제대로 확립이 안됐다"고 설명했다.

평가단은 또 '의료 쇼핑'과 '집단 문병'을 거론하면서 한국 사회의 독특한 병원 문화를 메르스 확산 원인으로 지목했다. 의료 시설 여러 곳을 다니며 치료를 받거나, 여럿이 함께 문병하는 문화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의료진이 메르스란 질병 자체에 생소했던 점도 꼽혔다. 후쿠다 사무차장은 "대부분의 한국 의료진들이 이 질병에 익숙지 않았던 것이 요인이 됐다"며 "이로 인해 어떤 호흡기 질환 증상이 나타났을 때 그 잠재적인 원인으로 한국의 의료진들이 메르스 감염을 의심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일부 병원의 경우 감염 예방에 대한 통제 조치가 최적화되지 못했다"며 "응급실이 너무 붐볐고 다인병실에 여러 명의 환자들이 지냈던 것도 일부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평가단은 그러나 "현 시점에서 지역사회 전파의 증거는 없었다"며 "중동에서처럼 병원 중심으로 유행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추가적인 환자 발생을 막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강력하고 지속적인 기본공중보건 조치의 이행"이라고 강조했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