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명중 29명이 '非격리'…정부가 '3차 감염' 불렀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비격리자 두 명이 다섯 명에 '3차 감염'…사실상 '통제불능' 단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가 국내 유입 보름만인 4일 35명으로 늘었다.

특히 이 가운데 보건당국이 당초 관리 대상에서 제외한 '비(非)격리' 확진 환자가 83%인 29명에 달해, 3차 감염자가 속출하는 작금의 화를 자초했다는 지적이다.

보건복지부는 이날 새벽 "메르스 검사에서 의료인 2명을 포함해 5명이 양성으로 추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31번(69) 환자는 16번(40) 환자와 대전 E병원에서 지난달 28~30일 같은 6인실에 있다 확진 판정을 받았다. E병원의 해당 병실에서 나온 세번째, 지금까지 나온 네번째 '3차 감염자'다.

16번 환자는 또 앞서 지난달 22~28일 머물렀던 대전 F병원의 같은 병실에 있던 30번(60) 환자에게도 '3차 감염'을 일으켰다.

다섯 번째 '3차 감염자'는 서울에서 나왔다. 그것도 대형 종합병원에서 치료를 하다 감염된 외과의사다. 이 35번(38) 환자는 14번(35) 환자를 치료하다 감염됐다.

 

문제는 '3차 감염'을 일으킨 14번 환자와 16번 환자 모두 당초 정부의 관리 대상에선 빠져있던 비격리 환자들이란 점이다. 정부가 제대로 대응했더라면 이들로부터 전염된 5명의 '3차 감염자'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란 아쉬움이 남는 대목이다.

문제의 심각성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이들처럼 비격리 상태로 열흘가량 방치돼있다가 확진 판정을 받은 환자가 29명이나 된다. 이날 새로 확진 판정을 받은 경기도 평택 B병원의 간호사 등 3명도 당초 격리 대상에선 빠져있었다.

따라서 이들 비격리 확진 환자들이 그동안 방치 상태에서 평소처럼 생활해온 걸 감안하면, 어떤 공간에서 어떤 사람과 접촉했는지를 특정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아직은 병원내 감염일 뿐"이라는 당국 입장과는 달리, 대규모 감염 사태인 '지역 전파'는 미래형이 아닌 현재진행형일 개연성이 농후하다는 얘기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