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성진지오텍 회장에게 300억 바친 포스코와 산업은행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자료사진)

 

포스코건설의 베트남 사업 비자금 조성 혐의로 박모 전 상무를 긴급체포하는 등 검찰이 본격적인 수사에 나선 가운데 검찰의 수사가 포스코그룹 전반으로 확대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법조계 시선은 벌써부터 포스코건설 비자금 의혹 다음 검찰의 목표는 어딘지로 쏠려있다.

검찰은 지난해부터 정준양 전 회장 시절 포스코그룹이 시도한 여러 인수·합병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살펴본 것으로 알려졌다.

정 전 회장 취임 초 30여개였던 포스코 계열사가 70여개로 급증했을 정도로 정준양의 포스코는 인수·합병을 통한 몸집불리기에 전념해왔다.

세계적인 철강수요 감소 추세에 맞춘 '사업 다각화 전략'이라는 설명이 뒤따랐지만 상식적으로 납득이 가지 않는 수상한 인수·합병 사례가 반복되면서 포스코 내부에서 조차 말들이 나오고 있다.

이런 이상한 인수·합병 의 대표적인 예가 성진지오텍 인수다.

포스코의 성진지오텍 인수로 인해 성진지오텍의 전정도 전 회장만 300억여원의 이득을 챙긴 셈이 됐기 때문이다.

◇ '키코' 손실만 3천억원 기업 지분, 터무니없이 비싸게 산 포스코

성진지오텍 인수를 놓고 '납득할 수 없다'는 표현을 쓰는 이유는 간단하다.

포스코가 전정도 전 회장으로부터 성진지오텍 지분을 매입할 때는 터무니없이 높은 가격으로 매입했지만, 바로 직전 전 전 회장이 산업은행으로부터 지분을 사들일 때는 훨씬 싼 가격에 사들였기 때문이다.

마치 산업은행과 포스코가 전 전 회장에게 아무 이유없이 거액의 돈을 안겨준 모양새이다.

포스코가 2010년 3월 담수화설비, 원자력발전, 해상풍력발전 설비용 플랫폼 개발에 일가견이 있는 중견기업 성진지오텍을 인수하겠다고 선언할 때까지만 해도 중공업계로 업종을 다각화하려는 포스코 전략의 일환으로 이해됐다.

문제는 포스코가 매입한 성진지오텍 지분의 가격.

포스코는 전정도 전 회장이 가지고 있던 성진지오텍 주식 440만주를 주당 1만 6,331원에 사들였다. 전 전 회장에게는 경영권 프리미엄이 95%나 인정된 가격이었다.

'키코' 투자손실로 인수결정 직전 3개월간 평균 주가가 8,200~8,300원대를 오르내리던 것과 비교하자면 납득하기 힘든 가격이었다.

더 이상한 것은 포스코가 같은 시기 미래에셋사모펀드로부터 사들인 749만주의 매입가격이었다.

포스코는 미래에셋사모펀드로부터 주당 1만 1,000원의 가격으로 성진지오텍 지분 794만주를 인수하기로 계약을 체결한다.

미래에셋사모펀드로부터 주식을 인수할 때도 경영권 프리미엄을 지급했지만 전 전 회장에게 지급한 프리미엄의 1/3도 안되는 수준이었다.

◇ 놔뒀으면 이익인데, 성진지오텍 지분 염가로 넘긴 산업은행

전정도 전 회장에게 신주인수권(BW)을 넘긴 산업은행의 경우도 이해가 가지 않기는 마찬가지다.

포스코의 성진지오텍 인수결정이 내려지기 6일 전인 2010년 3월 11일 산업은행은 신주인수권 446만주를 전 전 회장에게 주당 9,620원의 가격으로 매각했다.

당시 주식시장에서는 이미 포스코의 성진지오텍 인수가 기정사실화 되면서 성진지오텍의 주식이 한창 달아오르고 있던 시기였다.

주식으로 전환해 보유만 하고 있었어도 상당한 이득을 볼 수 있었지만 어찌된 일인지 산업은행은 매각 당시 주가인 1만 2,000원보다 훨씬 싼 가격에 신주인수권을 전 전 회장에게 넘기고 말았다.

이 계약으로 산업은행이 본 손실만 110억여원. 이 손실은 고스란히 전 전 회장의 이익으로 넘어갔다.

더 황당한 것은 포스코의 성진지오텍 인수가 산업은행 M&A실에 의해 주도됐다는 점이다.

산업은행측은 국정감사에서 성진지오텍 인수·합병은 서울 본사의 M&A실에서 주도하고, 신주인수권은 울산지점에서 주도했는데 울산지점에서 인수·합병 계획을 몰랐던 실수라며 궁색한 변명을 했다.

(자료사진)

 

◇ 전정도가 누구길래? 포스코와 산업은행이 갖다 바친 300억원

전정도 전 회장이 산업은행에게 신주인수권을 매각하라고 요구한 것도 납득이 가지 않는 부분이다.

당시 상황에서 산업은행이 성진지오텍의 신주인수권을 전 전 회장에게 팔 가능성은 0%에 가깝다는 사실을 30여년 넘게 사업을 해온 전 전 회장이 모를 리가 없었다.

전 전 회장은 산업은행이 마치 매각제의에 응할 것이라는 점을 알고나 있었던 것처럼 신주인수권 매입을 추진한다.

전 전 회장은 한 주간지와 인터뷰에서 "신주인수권 인수는 포스코에 주식을 매각할 때 내가 요구한 것이다. 그 신주인수권은 원래 다른 사람이 인수할 수 없도록 돼 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산업은행 울산지점과 성진지오텍 간에 작성한 '신주인수권부사채인수계약서'를 보면 전 회장에게 우선매수권을 부여한 조항이 없다.

사실 전 전 회장은 성진지오텍의 지분을 아예 매입할 수가 없었다.

포스코와 인수합병 과정이던 성진지오텍 주식을 기존주주들이 추가 취득할 수 없도록 돼 있었기 때문이다.

사태가 이렇게 되자 산업은행은 계약체결 한 달여 뒤인 같은 해 4월 22일 전 전 회장의 개인기업인 유영금속이 신주인수권을 매입할 수 있도록 계약서를 고치는 꼼수까지 발휘했다.

전 전 회장은 포스코와 산업은행을 상대로 벌인 빅딜로 무려 300억원에 달하는 수익을 챙겼을 뿐만 아니라 인수 뒤에도 포스코가 전 전 회장을 CEO로 지명해 경영권까지 방어할 수 있었다.

이런 이상한 계약이 버젓이 이루어진데는 정권 실세들의 힘이 아니고서는 힘들다는 것이 금융권 내부의 평가다.

전 전 회장은 1980년 볼트와 너트를 만드는 유영금속을 창업한 뒤 불과 8년만인 1989년 에너지 플랜트 기업 성진지오텍을 일궈내는 등 울산에서 입지전적의 인물로 여겨지고 있으며 지리적으로 가까운 포항출신 인사들과 교류도 상당히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반영하듯 2008년 11월에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남미 순방길에도 중소기업 CEO로는 이례적으로 동행하는등 이명박 정부와 긴밀한 관계를 과시해왔다.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