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 : CBS 라디오 FM 98.1 (07:30~09:00)
■ 진행 : 박재홍 앵커
■ 대담 : 김성완 (시사평론가)
◇ 박재홍> 김성완의 행간. 시사평론가 김성완 씨 나와계십니다. 어서 오십시오.
◆ 김성완> 네, 안녕하세요.
◇ 박재홍> 오늘 주제로 빨리 가볼까요.
◆ 김성완> 일본 저널리스트 고토 겐지가 IS에 살해됐다는 소식으로 지금 일본 사회가 큰 충격에 빠졌는데요. 하지만 이번 사건을 받아들이는 방식은 서로 극명하게 엇갈리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일본 언론인 피살을 보는 세 가지 시선. 그 행간을 좀 살펴볼까 합니다.
◇ 박재홍> 고토 씨는 이제 언론인이기 전에 또 두 딸을 둔 아버지였고. 또 가족들의 반응이 참 가슴 아팠어요.
◆ 김성완> 저도 그렇습니다. 정말 가슴이 아프던데요. 이 IS가 살해 동영상을 공개한 게 이제 엊그제였는데 그 직후에 고토 씨 부인이 영국의 언론인 지원단체를 통해서 입장을 발표를 했습니다. 그런데 그 반응이 누구를 탓하는 게 아니었고요. ‘남편이 자랑스럽다.’ 이런 거였습니다. ‘분쟁지역에서 사람들의 고통을 전해온 남편을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남편은 아이들의 눈을 통해 전쟁의 비극을 우리에게 전하는데 열정을 기울여왔다.’ 이런 입장을 밝혔고요. 고토 씨 어머니도 ‘같은 일본인을 돕기 위해 시리아에 간 아들의 선량함과 용기를 알아주기 바란다.’ 이렇게 밝혔습니다.
◇ 박재홍> 가족들이 뭐랄까요, 성숙한 반응을 보이고 있었고. 고토 겐지 씨 분쟁지역 참상을 알렸던 언론인이었기 때문에 그동안 취재했던 영상이나 글들이 확산되고 있어요.
◆ 김성완> 저도 글 하나를 보고 굉장히 감동을 받고 그랬었는데요. 여기 이 자리에서 소개해 드리기는 좀 그렇고 아마 찾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게 고토 겐지의 피살을 바라보는 첫번째 시선이 될 것 같은데요. 고토의 삶을 통해서 IS의 테러를 이해하는 시각입니다. 지금 전세계 SNS에서는 다양한 추모글이 올라오고 있는데요. 고토가 생전에 남긴 글이나 취재했던 영상을 찾아보고 많은 사람들이 감동을 받고 있습니다. 솔직히 사건 초기에 저도 고토 겐지가 누구야라고 이렇게 생각을 하기만 했었고 이 사람이 어떤 취재를 했왔었는지에 대해서 좀 찾아보지 않았는데요. 찾아보고 난 다음에 사실 저도 좀 놀랐습니다. 정말 대단한 저널리스트인데요. 1990년대부터 소형 비디오 카메라만 든채 분쟁지역으로 뛰어들었습니다. 그래서 인권이나 평화를 주제로 취재를 주로 했는데요. 우리 이제 아프리카 같은 경우에는 소년병들이 많이 들어가잖아요. 반군에 끌려가기도 하고 그러는데. 그런 소년병을 직접 가서 취재를 하기도 했었고요. 또 시리아에 마지막으로 들어갈 때 원래 먼저 잡힌 일본인 인질이 있었는데 그 인질을 취재하겠다, 이러면서 들어갔었던 거였습니다. 그때 이제 메시지를 하나 남겼는데요. 이렇게 얘기를 했습니다.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무슨 일이 있더라도 나는 시리아 사람을 원망하지 않는다, 일본 여러분도 시리아 사람에게 어떤 책임도 지우지 말아달라.’ 이렇게 부탁을 했습니다. 그러니까 이슬람 세력이나 이슬람 사람들한테 형제라는 표현을 사용하면서 이렇게 얘기를 했었거든요. 그런 뜻을 많은 사람들이 감동도 받고 좀 이어갔으면 좋겠다, 이런 얘기를 하고 있는 겁니다.
◇ 박재홍> 죽음을 통해 일본에서 더욱 조명을 받고 있는데 하지만 또 일본 내부에서는 분쟁지역에 들어간 당사자가 책임이 있다, 이런 주장도 있어요.
◆ 김성완> 일종의 당사자 책임론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이게 하필이면 위험지역에 들어가서 국민 모두를 힘들게 하느냐 이런 시각입니다. 2004년도에 일본인 3명이 이라크에서 자원봉사를 하다가 납치됐던 적이 있었는데요. 그때 풀려나고 난 다음에 일본 사회에서 세금도둑이다, 이런 얘기도 했었어요. 협상 하는 데 돈 들고 또 항공료도 들고 여러 가지 부수적인 돈이 들었는데 입국하자마자 그 돈 다시 다 돌려받아라 이렇게 얘기를 해서 실제로 일본 정부가 받은 그런 경우도 있었습니다. 이번 사건 초기에도 비슷한 주장이 일본 내부에서 있었는데요. 주로 일본 극우세력 내에서 극우 정치인이 고토 겐지가 자이니치 그러니까 재일 조선일일 수도 있다 이런 주장을 해서 굉장히 큰 논란이 되기도 했었죠. 바로 이런 주장이 더 극단적으로 가면 아베 총리의 자위권 행사 주장과 맞닿는 것 같습니다.
◇ 박재홍> 그래서 아베 총리가 이번 기회에 전세계에서 군사작전이 가능하게 하겠다, 이런 말도 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