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미지비트)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소비자들의 인식도 크게 변하고 있다. 여기에는 기본적으로 자연주의 정신이 함께 한다.
오염된 환경에서 자라고 생산된 농산물을 거부하고, 안전한 유기농산물을 먹겠다는 인간의 본능이 자리하고 있다.
하지만, 유기농산물은 생산원가가 비싼데다 공급량도 많지 않아, 일반 소비자들이 구입하기에는 비용부담이 큰 게 사실이다. 그만큼 웰빙이 어렵다는 얘기다.
그런데, 농림축산식품부가 오는 2025년까지 국내에서 유통되는 모든 농산물에 대해 GAP(Good Agricultural Practices, 농산물 안전관리제) 인증을 확대하는 내용의 정책방안을 5일 발표했다. 웰빙 문화에 새로운 변화의 바람이 불 전망이다.
◇ GAP는 안전= GAP는 농산물의 생산부터 수확, 포장, 유통단계까지 안전성을 확보하는 제도다.
이를 위해, 농산물에 남아있는 농약과 중금속, 유해생물 등 각종 위해 요소를 사전에 제거하고 관리하게 된다.
소비자 식탁에 오르는 최종 농산물에는 위해요소가 없거나, 있어도 국가가 정한 기준치 이하만 남아있게 된다.
결국, 생산자 농민들은 GAP 인증을 받기 위해선 농약을 아예 치지 않거나, 최소한의 양만 투입할 수 밖에 없어 자연스럽게 친환경 유기농산물을 생산하게 된다.
◇ 소비자, 안전한 농산물 관심…빈약한 국내 GAP = 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소비자들이 농산물을 구매할 때 관심도가 안전이 59%로 가장 높고, 건강. 영양이 21%, 조리 11%, 가격 9%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이는, 소비자들이 고품질 안전 먹거리에 대해 관심이 매우 많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농산물 안전관리제도인 GAP를 확대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실제로, 국내 GAP 농산물의 안전성검사 부적합율은 2010년 0.6%에서 2012년에는 0.3%로 절반이나 줄었다.
이에 반해, 일반농산물의 안전성검사 부적합율은 2.2%에서 1.8%로 0.4%p 감소하는데 그쳤으며, 부적합율도 GAP 농산물에 비해 6배 이상 여전히 높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지난 2006년에 GAP가 도입됐지만 전국 단위의 보편적 확산에는 사실상 실패했다.
지난 6월 현재, 전국의 GAP 재배면적은 5만9천ha로 우리나라 전체 농산물 재배면적의 3.5% 수준에 불과하다. 또, GAP 인증농가 수도 4만7천여 가구로 전체 농가의 4.1%에 머물러 있다.
GAP 인증 과정이 복잡해 노력과 비용이 많이 들고, 시장에서 소비자들의 수요도 낮았기 때문이다.
◇ 농식품부, GAP 농산물 재배면적 15배 확대= 농식품부는 오는 2025년까지 국내에 유통되는 모든 농산물에 대해 GAP 인증을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현재 3.5%에 불과한 GAP 농산물 재배면적을 2025년까지 50%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올해부터 2017년까지 GAP 특화단지 100곳을 조성하고, 2024년까지는 원예전문생산단지와 밭작물 공동경영체 등 규모화된 단지부터 GAP를 의무화할 계획이다.
2025년부터는 생산지를 대상으로 한 모든 정책사업에 GAP를 의무적으로 적용해, GAP가 농업생산의 기본적인 안전, 위생 조건이 되도록 제도화 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농민 스스로 작성해야 하는 GAP 인증 구비서류(위해요소 관리계획서)를 농촌진흥청에서 매뉴얼 형태로 제공하는 등 인증 절차를 대폭 줄인다는 복안이다.
특히, 기존 생산자만 인증을 받을 수 있었던 GAP 제도가 생산자 뿐만 아니라 유통업체도 GAP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인 기반도 마련하기로 했다.
안용덕 농식품부 소비과학정책과장은 "소비자들이 안전한 농산물을 믿고 구입할 수 있도록 GAP 자체를 근본적으로 바꿀 계획"이라며 "이번에 유통, 소비, 생산기반, 추진체계 등 전 분야를 망라한 중장기 종합 대책이 포함됐다"고 말했다.
안 과장은 또, "개방화 시대를 맞아 웰빙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은 더욱 커질수 밖에 없다"며 "GAP을 통해 이러한 웰빙 욕구가 충족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