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비트 제공
수익성이 악화하고 있는 금융사들이 합병과 매각,구조조정 등으로 살길을 찾고 있지만 난제가 많아 진통을 겪고 있다.
115년 역사를 자랑하는 우리은행은 지난 2010년부터 민영화 절차를 다시 추진해오고 있다.
정부는 경쟁력을 강화한다며 우리은행의 민영화를 선택했지만 길은 여전히 순탄치 않아 보인다.
우리은행 민영화는 정권이 바뀔때마다 추진됐다 무산되기를 반복하면서 10여년의 세월이 흘렀는데 현재는 관련법의 국회통과가 지연되면서 민영화의 발목을 잡고 있다.
문제의 법은 우리금융 산하 경남·광주은행 매각 시 발생하는 세금을 면제해주는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인데 국회 처리 여부에 따라 민영화 일정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측은 "조특법 개정안이 4월 국회에서 통과돼야 우리은행과 지주를 합쳐 매각 절차를 진행할 수 있는데 현재로선 장담할 수 없다"고 밝혔다.
수익성 악화에 직면한 다른 금융사들도 고민이 적지 않다.
신한,하나은행 등 시중 은행들은 인터넷 뱅킹과 스마트폰 활성화로 고객과의 대면접촉이 줄어들면서 지점들을 통폐합 또는 폐쇄하는 구조조정을 진행중이지만 비대면 접촉을 늘려 수익을 창출하는 새로운 방안 마련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한 시중은행은 경영개선을 위해 대규모 구조조정까지 준비중이다.
이 은행은 구조조정이 단행될 경우 금융권에 미칠 파장을 고려해 시기와 규모를 저울질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나금융지주가 업계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추진중인 하나SK카드와 외환카드의 통합도 금융당국의 심사에 발목이 잡혀 올해안 성사가 불투명하다.
통합 작업이 지연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최근 발생한 국민.농협.롯데 등 카드3사의 고객 정보 유출사태로 인해 은행과 카드사를 분사하는 심사가 까다로워진데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외환은행과 외환카드 분사를 심사하는 과정에서 점검할 부분이 많아 시간이 오래 걸릴 것"이라며 "빨라야 올 하반기에나 분사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