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월 중순쯤 이산가족 행사 추진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정부가 키 리졸브 훈련 등 한미 연합군사훈련이 시작되기 전인 2월 중순쯤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는 북한이 24일 이산가족 상봉 행사 제의를 해온 직후 류길재 장관 주재로 심야 대책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대응 방향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특별한 상황이 없으면 한미 연합군사훈련 전으로 시기를 보고 있다"면서 "훈련이 끝나고 3월 중순이나 말이 되면 너무 늦은 감이 있다"고 밝혔다.

정부가 2월 말부터 3월 초까지 이어지는 키 리졸브 훈련이 시작되기 전에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추진하려는 것은 북한이 훈련을 빌미로 상봉 행사를 다시 무산시킬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대표적인 명절로 김정일 위원장의 출생일인 광명성절(2월 16일)을 고려하면 상봉은 그 직후부터 키 리졸브 훈련 시작 전까지 기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이산가족 상봉 장소는 북측이 제시한 대로 금강산을, 규모는 지난해 합의한 남북 각 100명을 대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한편, 정홍원 국무총리는 25일 "정부는 북한과 잘 협의해서 가능한 한 좋은 날을 빨리 잡아 남북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 총리는 이날 북한에 여동생 2명을 둔 이산가족 이오환(85·여)씨의 관악구 신림동 집을 직접 찾아가 이씨를 위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어 정 총리는 "어제 북한이 우리의 제의를 수용한 것을 환영한다"면서 "고향과 헤어진 가족을 그리워하는 이산가족들이 설이 지나면 꼭 다시 만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1929년 황해도 연백군에서 태어난 이 씨는 결혼 후 남편과 인천으로 이사한 뒤 한국전쟁이 발발, 북쪽의 가족과 연락이 끊겼다.

이 씨의 부모와 남동생은 이미 사망했고, 여동생 2명이 생존해 있어 지난해 추석 때 이산가족 상봉자로 선정됐으나 북한의 일방적인 연기로 상봉이 무산됐었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