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업주부, 워킹맘보다 양육스트레스·우울감 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2014-01-10 07:09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전업주부가 일하는 엄마에 비해 양육 스트레스도 더 많이 받고 더 우울한 것으로 10일 나타났다.

육아정책연구소가 최근 공개한 '어머니의 취업유형에 따른 영아의 기질,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양육방식의 차이 연구' 논문을 보면 전업주부는 정규직인 엄마보다 긍정적 심리지표가 낮고 부정적인 심리 지표는 높았다.

논문은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2차년도(2009년) 데이터를 바탕으로 18개월 미만의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 1천863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해 일하는 엄마의 특성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정규직 엄마와 전업주부의 심리상태를 분석했다.

그 결과,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은 정규직 엄마가 각각 5점 만점에 3.78점, 3.58점이었지만 전업주부 엄마는 3.66점, 3.46점에 그쳤다.

또 부정적 심리지표인 우울감의 경우 정규직 엄마(1.82점)보다 전업주부(1.95점)가 더 높았으며 양육 스트레스도 정규직(2.67점)보다 전업주부(2.77점)가 더 높았다.

논문을 집필한 임현주 배재대학교 유아교육과 강사는 "전업주부가 정규직 어머니보다 양육 스트레스 점수가 높은 것은 전업모가 양육을 맡는 게 당연하다고 여기는 사회적 인식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임 강사는 "현재 사회적 분위기에서 전업모는 취업모에 비해 인적 지원을 제대로 받을 수 없다"며 전업모의 자기효능감과 자아 존중감을 높이기 위해 양육과정에서 남편과 사회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비정규직인 엄마는 자기효능감과 우울감 분야에서 전업모와 평균 점수가 동일, 직업의 질이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에도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임 강사는 "취업모에게 긍정적인 심리상태를 만들어주려면 일자리의 수의 증대에만 관심을 둘 것이 아니라 급여나 노동기간의 안정성이 보장된 정규직 제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