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LG유플러스가 중국 주요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의 기지국 장비를 도입하기로 한 데 대해 미국 정부가 안보상의 이유로 우려를 표명한 것으로 확인됐다.
여기에 미국의 중진 상원의원들까지 화웨이 장비를 도입하면 한·미 동맹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뜻을 밝혀 논란이 확산하는 양상이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최근 비공식적인 통로를 이용, 중국 화웨이가 한국 무선 네트워크 시장에 진출하는 데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한국 관리들에게 전달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정부는 화웨이의 장비가 미군 주요 인사들의 네트워크를 도청하고, 미국과 동맹국의 통신 내용을 감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고 한 미국 정부 관리는 전했다.
미국 정부 역시 지난 2011년 화웨이가 통신장비를 이용해 감청할 수 있다는 이유로 자국의 무선 네트워크 사업에서 배제했다.
또 오바마 행정부는 지난해 비공식적인 통로로 화웨이가 호주의 광대역 사업에 참여하는 것에 우려를 표명했고, 화웨이는 경쟁 입찰에 참여하지 못했다,
미국 정부는 특히 한국의 경우 주한 미군이 주둔하고 있고, 미국과 '패권 경쟁'을 벌이는 중국과 인접했다는 점에서 화웨이의 진출을 더욱 민감하게 보고 있다.
이 같은 우려의 목소리는 미국 의회에서도 나왔다.
다이앤 파인스타인(민주·캘리포니아) 상원 정보위원장과 로버트 메넨데즈(민주·뉴저지) 상원 외교위원장은 지난달 27일 척 헤이글 국방장관, 존 케리 국무장관, 제임스 클래퍼 국가정보국(DNI) 국장에게 LG유플러스의 화웨이 장비 도입이 한·미 동맹을 위협할 수 있다는 내용의 서한을 보냈다.
이들은 서한에서 "화웨이가 한국의 LTE-A 통신 기간망 공급자로 선정됐다는 보도를 봤는데 이는 잠재적인 안보 우려를 야기한다"며 "통신 기간망 보안은 안보 동맹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밝혔다.
서한은 바이든 부통령의 방한과 방중에 앞서 발송됐다. 그러나 바이든 부통령과 한국·중국 당국자 간 회담에서 이 같은 내용이 논의될지는 확실하지 않다.
이에 대해 청와대와 군 당국, 정보기관은 "할 말이 없다"고 밝혔고, 한국 정부는 "미국 정부가 우려를 표명했다는 사실을 듣지 못했다"면서 "이는 개별 기업이 결정할 문제"라고 답했다고 WSJ는 보도했다.
중국 외교부도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화웨이 등 중국기업은 시장경제원칙에 따라 국제적으로 경영활동을 하고 있다"며 "그들은 관련 국가의 법률·법규를 존중하고 있고, 유관국가의 상호이익과 공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