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3사·케이블, 4년 간 간접광고만 863억원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방송의 상업화 우려

 

4년 간 방송사가 벌어들인 간접광고 매출액이 863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광고는 드라마와 연에오락 등 시청자들이 즐겨보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시행 중이다.

하지만 시청권 침해와 방송의 상업화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도 낳고 있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재천(민주당) 의원이 15일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간접광고가 도입된 지난 2010년부터 2013년 8월까지 케이블을 포함한 지상파 3사 방송사의 간접광고 매출액 규모가 총 863억 8,000만원에 달했다.

이는 2010년에 비해 무려 6배나 증가한 매출 규모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0년 44억2,000만원, 2011년 207억7,000만원, 2012년 344억3,000만원으로 간접광고 시장이 급성장했다.

올해 8월까지 매출도 267억6,000만원에 달했다.

각 방송사의 간접광고 계약실적과 계약금액 규모도 상승세가 가팔랐다.

KBS의 경우 2010년에서 2012년까지 계약실적이 7건에서 101건으로 14.4배 급증했다.

계약금액도 3억1,000만원에서 72억4,000만원으로 23.3배 늘어 다른 방송하에 비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어 SBS가 계약실적 5.6배, 계약금액이 7.5배 증가했고 MBC는 계약실적 4배, 계약금액 3.5배가 증가했다.

케이블TV는 계약실적이 3.9배, 계약금액은 5.7배 각각 증가했다.

최재천 의원은 "지나친 간접광고는 방송의 내용과 광고가 구별되지 않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고 방송의 상업화로 인한 공익성을 훼손할 수 있다"며 "주무부처인 방송통신위원회는 시청자의 시청권을 보장하는 정책적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