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린 추석 없어요" 연휴 잃은 사람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대형 마트 노동자 '당일만 휴무'…택시기사나 고시생도 '생업' 매진

 

닷새간의 황금 연휴인 이번 추석에도 숨돌릴 틈 없는 이웃들이 있다. 생계를 위해 혹은 미래를 위해 어쩔 수 없이 연휴를 반납해야 하는 그들에게 추석은 없다.

◈ 명절에 영업하면서 '정상영업'? 늘어난 매장 챙기느라 가매출만 잔뜩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백화점 앞에 때아닌 차례상이 펼쳐진 건 연휴 직전인 지난 16일.

추석 명절에도 고향에 내려가지 못하고 일해야 하는 유통업계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이날 '한풀이'를 벌였다.

민주노총 산하 전국민간서비스산업노조는 "롯데백화점 김포공항점 등 일부 점포들이 오는 추석 연휴에 당일 하루만 휴점한다"며 "하루 만에 뭘 쉬라는 거냐. 롯데 신격호 회장이 하루 만에 고향에 다녀와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유통업계 노동자 윤모(52·여) 씨는 "서로 돌아가며 눈치껏 하루 쉴 틈을 내도 시댁부터 가야 한다"며 "간신히 찾아가도 명절 준비는 하지 않고 눈도장만 찍는 며느리를 반기는 시댁은 없다"고 털어놨다.

며느리들의 돌림병인 '명절 스트레스'는 윤 씨도 피해가지 않는다. 윤 씨는 마트에서는 비정규직 노동자이지만, 가정에 돌아가면 여느 어머니이자 며느리일 뿐이다.

명절이 되면 노동강도는 배가 넘는다. 윤 씨는 "정규직 등 다른 직원이 쉬면 남는 직원은 평소보다 훨씬 많은 매장을 관리해야 한다"며 "실적 압박은 여전해서 추석 3일 사이에 1500여만원까지 가매출을 낸 적도 있다"고 주장했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의 전수찬 이마트노조위원장은 "매월 이틀씩 쉬는 의무휴업제가 생기자 오히려 쉴 것 다 쉬었으니 연휴는 일하라며 압박하는 게 현장 분위기"라며 "명절마다 '정상영업한다'는 현수막을 걸어놓는데 전 국민이 쉬는 명절에 영업하는 건 '비정상영업' 아니냐"고 반문했다.

이어 "전에 근무하던 지점에서 평소 600여 명이 근무했는데 명절에는 손님이 더 늘어나는데도 100여 명만 남아 일하기 때문에 노동강도가 엄청났다"며 "휴가를 떠난 정규직이 명절상여금으로 150만원가량 챙길 때 정작 남아서 일하는 비정규직은 60만원도 받기 어렵다"고 성토했다.

◈ 정해진 만큼 일하지 않으면 월급 깎이는 택시기사

한 택시회사에서 일하는 기사 정모(59·여) 씨도 추석 연휴 닷새 내내 운전대를 놓을 수 없다.

입사할 때 읽을 것도 없다며 빨리 서명하라던 근로계약서가 화근이었다. 알고 보니 매월 26일씩 일하지 않으면 쉬는 날만큼 월급을 깎겠다는 내용이었다. 휴일 수당은 꿈도 꿀 수 없다.

어차피 계약서 내용을 알았더라도 별수 없었을 것이다. 일찍 남편을 사별하고 홀로 아들을 키운 정 씨는 "이 일을 하지 않는다고 굶어죽지야 않겠지만, 아들에게 부담을 주느니 어떻게든 일하는 게 낫다"며 웃었다.

더구나 이달 초 몸이 아파 이틀을 쉬었기 때문에 이번 추석 내내 일할 수밖에 없다. 이렇게 일해도 받는 월급이라고는 26일 기준으로 80여만원. 여기에서 세금을 떼면 70만원 수준이다.

정 씨는 "내가 회사에 가져다주는 돈을 계산해보면 못해도 300만~400만 원인데 어떻게 된 영문인지 모르겠다"며 "손님 한 명 못 태워도 차 놀려서 매일 13만원씩 떼이느니 5만원씩 회사에 내고 일하는 게 낫다"고 했다.

무엇보다도 정 씨는 남들이 다 쉬는 명절에 일하는 자신 때문에 부모 고생시키는 아들로 비쳐질까 걱정이다. "명절에 운전하면 손님들이 '저 여편네는 가정도 없나, 명절에 나와 일한다'고 욕할까 창피하다"는 것.

하지만 정 씨는 이내 "집에서 쉬어서 뭐하겠나. 요즘 예순 넘어서도 일하는 건 기본"이라고 담담하게 말했다.

◈ 추석 잊은 신림동 고시촌…"자취방 들어가면 홀로 남겨진 것 같아"

김모(26) 씨는 행정고시 합격을 목표로 서울 관악구 신림동에 '입촌'한 지 이제 1년 반이 지난 고시생이다.

김 씨는 이번 추석에도 함께 자취하는 친동생만 충남 고향집에 보내기로 마음먹었다. 고시촌에 들어온 뒤로 명절은 '5급 공무원의 사치'라고 생각하기로 작정했다.

추석에 남아도 딱히 공부를 많이 할 것 같지는 않다. 학원 수업은 이미 작년에 들었던 내용이고, 독서실은 문을 닫으니 자취방에서 혼자 공부해야 한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