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사망원인 1위는 '심혈관질환'…한국은 '암'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전 세계인은 어떤 원인으로 가장 많이 목숨을 잃을까?

2011년 전 세계 사망원인 1위는 심혈관질환이라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우리나라는 암으로 불리는 악성신생물 때문에 숨지는 사람이 가장 많았다.

질병관리본부 감염병감시과 인혜경 연구원은 10일 세계보건기구(WHO)의 '전 세계 10대 사망원인'과 우리나라 통계청의 '2011년 사망원인 통계'를 인용해 이같이 밝혔다.

2011년에 전 세계에서 약 5천 500만명이 숨졌다.

사망원인을 감염성 질환과 비(非)감염성 질환으로 나눠 봤을 때, 비감염성 질환, 즉 만성질환이 3분의 2 정도인 66.7%(3천 600만명)를 차지했다.

지난 2000년의 60%에 견줘 늘었다.

세계인의 목숨을 앗아간 주요 4대 만성질병은 심혈관질환, 암, 당뇨, 만성 폐질환 등이었다.

이 중에서 심혈관질환으로 약 1천 700만명이 숨져 사망원인 1위를 차지했다.

전 세계 사망자 10명 중 3명꼴이다.

연령별로는 2011년에 690만명이 5세 이전에 사망했다.

이들 사망의 99%는 저·중소득국가에서 발생했다.

5세 미만 영유아의 주요 사망원인은 폐렴, 조산, 출산 시 질식, 출생 시 외상, 설사질환이었다.

국가소득별 사망 특성도 달랐다.

고소득국가에서는 사망자 10명 중 7명이 70대 또는 그 이상의 고연령층이었다.

사망원인은 만성질환(심혈관질환, 암, 치매, 만성폐쇄성폐질환 또는 당뇨)이 대부분이었다.

반면, 저소득국가에서는 사망자 10명 중 4명이 15세 이하 어린이였다.

우리나라의 1위 사망원인은 암이었다.

국내 통계청의 2011년 사망원인 통계자료를 보면, 2011년 우리나라 총 사망자수는 25만 7천 396명(인구 10만명당 513.6명)으로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고치를 나타냈다.

10대 사망원인은 악성신생물(암), 뇌혈관 질환, 심장 질환, 고의적 자해(자살), 당뇨병, 폐렴, 만성하기도 질환, 간 질환, 운수사고, 고혈압성 질환으로 총 사망의 70.8%를 차지했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