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0번째 '지구 근접 천체' 발견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소행성 '2013MZ5', 지구에 영향 없어

소행성 이다(Ida)와 위성의 모습 (나사 홈페이지 화면캡쳐)

 

소행성과 혜성 등을 비롯한 10,000번째 지구 근접 천체를 발견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이하 나사)은 24일(현지시간) "지난 18일(현지시간) 팬스타(Pan-STARRS) 망원경으로 소행성 '2013MZ5'를 발견했다. 이 천체는 10,000번째 지구 근접 천체다"고 발표했다.

지구 근접 천체(Near-Earth Objects, 이하 NEO)는 지구 궤도에 약 4,500만 킬로미터 내에 접근하는 소행성이나 혜성을 말한다. NEO의 크기는 수 미터부터 수십 킬로미터까지 다양하다. 발견된 NEO 중 가장 큰 것은 1036가니메드로 크기는 41킬로미터에 이른다.

이번 발견된 천체의 크기는 약 300미터다. 궤도를 분석한 결과 지구에 위협을 줄 정도로 접근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소행성 '2013MZ5'(화살표) (출처=나사 홈페이지 화면 캡쳐)

 

나사, 1년에 NEO 1,000개 발견

NEO의 98%는 나사가 이끄는 탐사로 발견됐다.

첫 번째 NEO를 발견한 것은 지난 1898년이었다. 이후 100년 동안 500여개를 찾았다. 지난 1998년 나사의 NEO 관측 프로그램이 출현한 뒤 1년에 1,000개꼴로 NEO가 발견되고 있다.

1킬로미터 이상 큰 NEO는 충돌 시 지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이는 지금까지 발견된 1만 여개의 NEO 중 10%에 불과하다. 대부분의 NEO는 1킬로미터 보다 작다.

나사 관계자는 "1킬로미터 보다 큰 NEO 중 90%를 발견했으며 현재 지구에 영향을 줄 만한 것은 없다"고 밝혔다.

이어 "NEO들이 현재 어디 있는지, 어디로 향하는지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