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4일로 북한이 제3차 핵실험을 강행한 지 사흘이 지났지만, 한국 정부가 기본적인 핵실험 분석조차 제대로 못한 채 국방부의 군사적 대응 목소리와 외교부의 대북제재 주장에만 힘을 싣고 있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이날 동해에서 12시간 동안 대기 포집을 하고 시료에 대한 분석 작업을 벌였지만, 제논(Xenon)이 탐지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제논의 농도를 알아내야 북한이 이번에 실험 원료로 고농축 우라늄을 썼는지 알 수 있다.
우라늄 여부가 중요한 이유는, 우라늄탄이 이동이 쉬운 원심분리기를 이용해 만들어지는 만큼 감시가 어렵기 때문이다. 게다가 플루토늄탄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가 작아 핵탄두 소형화에 적합하다.
아산정책연구원 박지영 박사는 "방사능 물질인 제논이나 크립톤이 포집됐다고 해도, 상당한 양이 포집돼야 제논의 농도를 통해 우라늄탄 여부를 알 수 있다"며 "아예 제논이 탐지조차 되지 않았다면 우리 기술력으로는 핵실험의 원료가 무엇인지 알 수 없다는 얘기"라고 설명했다.
앞서 북이 성공한 미사일 발사 기술에 이어 미사일에 싣는 핵탄두 소형화에 성공했다는 것이고, 따라서 실질적인 핵공격력을 갖췄다는 의미다. 반면 우리 정부가 이를 감시하면서 대비태세를 갖추기는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제논의 반감기(半減期)가 12시간에 불과하다는 것을 감안하면, 앞으로도 우라늄탄 여부를 확인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북한의 2차 핵실험 때도 시료 분석에 실패했었다. 플루토늄탄을 확인했던 1차 핵실험의 경우 미군의 정찰기가 제논을 탐지했었다.
이에 따라 한국은 "다종화된 핵억제력을 과시했다"며 고농축 우라늄 방식의 핵실험을 시사하는 북한의 설명에 의지할 수밖에 없게 됐다. 확인된 정보는 없지만, 대북 강경 메시지는 연일 생산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이날 대화 가능성을 크게 열어놓았던 새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인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와 관련해 "현재 상황은 이런 생각을 진전시키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김관진 국방장관은 "북한이 도발하면 우리가 가진 미사일로 초전에 적의 맥을 끊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