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직업계고 취업률 55.2%…3년 연속 하락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핵심요약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2025년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 통계 조사 결과' 발표
'300명 이상 기업 취업 비중'…36.3%로 4년 연속 상승
지난해 4월 취업자, 6개월 후 취업유지율 83.1%…12개월 후 취업유지율 68.2%

연합뉴스연합뉴스
올해 직업계 고등학교 졸업생의 취업률이 55.2%로 3년 연속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25일 전국 575개 직업계고의 올해 2월 졸업자 5만 9661명을 대상으로 4월 1일을 기준으로 한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 통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직업계고 졸업자의 취업률은 55.2%로, 지난해보다 0.1%p 하락했다. 직업계고 졸업자의 취업률은 지난 2020년 첫 조사때 50.7%를 기록한 이후 2021년 55.4%, 2022년 57.8%로 상승하다 2023년 55.7%, 지난해 55.3%로 하락했다.
 
취업률은 졸업자에서 '진학자, 입대자, 제외 인정자'를 뺀 인원 중 취업자 비율이다. 진학률은 49.2%로 지난해에 비해 1.2%p 올랐다.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통계조사는 2020년부터 매년 4월 1일 기준으로 고용보험, 건강보험 등 공공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해 직업계고 학생의 졸업 후 취업 상황을 파악하는 국가 승인 통계다.
 
학교 유형별로는 마이스터고가 73.1%로 가장 높고, 특성화고 52.4%, 일반고 직업반은 38.2%를 기록했다. 성별로는 남성 54.1%, 여성 57.0%다.
 
지역별로는 대구(67.8%), 경북(63.9%), 대전(60.7%), 울산(60.3%)의 취업률이 높았고, 수도권이 51.2%, 비수도권이 57.9%였다.
 교육부 제공교육부 제공
사업장 규모별로는 30명 이상 300명 미만 기업체 취업자가 33.7%로 가장 높았고, 1천명 이상 25.4%, 5명 이상 30명 미만 24.6%, 300명 이상 1천명 미만 10.9% 등의 순이다.
 
특히 300명 이상 기업에 취업한 비중은 2021년 22.5%에서 2022년 29.9%로 상승한데 이어 2023년 33.4%, 지난해 34.5%, 올해 36.3%로 4년 연속 상승했다. 교육부는 "이는 취업의 질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지난해 4월 직업계고 취업자의 6개월 후(지난해 10월 1일) 1차 취업유지율은 83.1%, 12개월 후(올해 4월 1일) 2차 취업유지율은 68.2%로, 전년(2023년 졸업자 대상) 대비 각각 0.9%p, 2.0%p 상승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