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효과…9월 은행 가계대출 증가폭 반토막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은행권 증가폭 8월 4조→9월 2조…한은 "계절적 요인도 영향"
금융권 1.1조 증가 그쳐…6·27 등에 증가폭 4분의 1 토막
"10·15 대책 반가운 소식..효과 판단하기엔 이른 시점"

연합뉴스연합뉴스
9월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폭이 8월의 절반 수준으로 크게 줄었다.
 
6·27 대책의 영향이 이어지는 가운데 비(非) 이사철 수요 감소 등 계절적 요인이 맞물리면서 가계대출이 감소세로 전환했다는 분석이다.
 
1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9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8월 말보다 2조원 불어난 1천170조2천억원으로 집계됐다.
 
가계대출은 지난 6월 6조2천억원에서 6·27 대책 이후 7월 2조7천억원으로 감소했다가 8월 4조원대로 반등했지만, 9월에는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다.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932조7천억원)이 2조5천억원 늘어나, 지난 3월(2조5천억원) 이후 최저 수준의 증가를 보였다.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236조6천억원)은 5천억원 감소했다.
 
박민철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6·27 대책 영향이 이어진 데다 7~8월 이사철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전세자금 수요가 적은 계절적 요인 등으로 증가 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과 관련해선 "최근 수도권 주택 시장이 재차 과열되는 조짐을 보이는 상황에서 대책이 발표된 것이기 때문에 반가운 소식이지만 아직 대책의 효과를 판단하기 이른 시점"이라며 "9월에 늘어난 주택 거래량은 2~3개월 시차를 두고 주택구입용 대출에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같은 날 공개한 '9월 중 가계대출 동향(잠정치)'에서도 지난달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1조1천억원 증가하는데 그쳤다. 증가 폭이 전월(+4조7천억원)의 4분의 1 수준에도 미치지 못했고, 지난 3월(+7천억원) 이후 6개월만의 최저치다.
 
은행 가계대출이 2조원 늘어난 반면, 2금융권 가계대출은 9천억원 감소했다.
 
전 금융권 주택담보대출은 3조6천억원 늘었지만, 증가액은 전월(+5조1천억원)보다 1조5천억원 감소했다.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은 2조4천억원 급감해, 올해 3월(-3조원) 이후 최대 감소 폭을 기록했다.
 
은행의 기업 대출은 5조3천억원(잔액 1천360조1천억원) 늘었지만, 전월(+8조4천억원)보다 증가 폭이 축소됐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이 각 1조3천억원, 4조원 늘었다.
 
박 차장은 "은행들이 기업 여신 확대 전략을 추진하는 데다 추석 자금 수요도 겹쳐 완만한 증가세를 이어갔다"며 "앞으로 은행이 기업 여신 공급을 계속 늘리더라도 미국 관세 등 불확실성이 커 당분간 기업의 대출 수요가 큰 폭으로 확대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수신(예금)의 경우 지난달 예금은행에서 31조9천억원 늘어난 2천513조4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수시입출식예금이 법인자금 유입으로 35조5천억원 증가했고, 정기예금은 지방자치단체 재정 집행과 기업의 추석 자금 수요 등으로 4천억원 감소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