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트럼프, 관세율 인상…모든 나라에 20% 고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핵심요약

WSJ "트럼프, 오는 2일 보편관세 20%로 기울어"

연합뉴스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대부분의 무역 상대국에 최대 20%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30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오는 2일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보다 광범위하고 높은 관세를 매겨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는 모양새다.
 
WSJ은 "트럼프 행정부가 다음 달 2일 발표할 상호 관세의 방식을 두고 막판 논의를 벌이고 있다"면서 "관세 부과 방식이 보편 관세로 기울었으며 관세율은 기존 논의보다 높은 20%로 설정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등 일부 품목에 25% 관세를 부과하면서 "다른 분야의 일반 관세율은 높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도 중국 등 주요 교역국 15곳에 집중적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더티 15' 구상을 밝힌 바 있지만, 이번 방안은 이보다 더 광범위하고 수위가 높은 조치다.
 
최근 트럼프 행정부 내부 논의의 핵심은 무역 상대국에 대해 개별화된 관세, 즉 상호 관세를 부과할지, 아니면 미국과 거래하는 모든 국가에 영향을 미칠 보편 관세를 적용할지 여부였다.
 
WSJ은 트럼프 행정부가 보편 관세 쪽으로 방향을 틀게 된 배경에 대해 "감세 정책으로 인해 정부 재정 적자가 부담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각종 규제를 철폐하고 부유층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감세 정책을 내세워 당선에 성공했다. 하지만 감세 정책은 재정 적자를 더욱 심화시킬 수밖에 없으며, 이를 상쇄하기 위해 트럼프 행정부가 전 세계를 대상으로 보편 관세를 부과하기로 급선회한 것으로 보인다고 WSJ은 풀이했다.
 
내부 사정에 정통한 한 소식통은 "최종 계획이 무엇이든, 대통령은 정책이 크고 단순하기를 원한다"고 밝혔다.

또한 WSJ은 트럼프 행정부가 핵심 광물과 이를 포함한 제품에 타격을 주는 새로운 산업별 관세 목록을 2일 공개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