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본 "주불 진화 완료…인명, 산림 등 역대 최대 피해"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사망 30명 등 인명피해 75명, 4만8천헥타르 산림 피해

29일 경북 의성군 단촌면과 안동시 일직면 일대 산림이 까맣게 타 있다. 연합뉴스29일 경북 의성군 단촌면과 안동시 일직면 일대 산림이 까맣게 타 있다. 연합뉴스
고기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30일 "지난 21일부터 경남과 경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한 대형산불은 모두 진화했다"고 밝혔다.

고 본부장은 이날 오후 경북도 재난안전상황실에서 주재한 중대본 회의에서 이같이 밝히고 "이번 산불은 인명과 재산 피해 모두 역대 최대 규모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사망자 30명을 포함해 모두 75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산불 피해 산림은 총 4만8천여㏊로 추산됐다.

주택 3천여동이 전소되고, 국가유산 피해 30건, 농업시설 2천여건 등 시설 피해도 잇따랐다.

고 본부장은 "산불 피해 현장은 생각보다 훨씬 참담하며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의 상실감과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전했다.

 29일 경북 안동시 임하면 추목리 마을에서 한 주민이 근심 어린 표정으로 전소된 마을을 바라보고 있다. 연합뉴스 29일 경북 안동시 임하면 추목리 마을에서 한 주민이 근심 어린 표정으로 전소된 마을을 바라보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는 이재민 안정과 조속한 일상 복귀를 위해 공공기관 연수원과 민간 숙박시설을 임시 숙박시설로 활용하고, 생업과 가까운 지역에 임시조립주택을 설치할 예정이다.

피해가 확인된 이재민에게는 지자체를 통해 긴급생활 안정지원금을 신속히 지원하고, 심리 및 의료 지원도 병행한다.

이번 산불사태가 발생한 뒤로 전날인 29일까지 약 1만여명의 자원봉사자가 피해 수습과 이재민 지원에 참여했고 전국재해구호협회 등을 통해 약 550억원의 성금이 모금됐다.

고 본부장은 "이제껏 경험하지 못한 이번과 같은 산불은 언제든 다시 발생할 수 있어 예방과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산불 위험지역 수시 현장 점검과 진화인력·장비 선제 배치 등 철저한 초기대응 필요성을 강조했다.

고 본부장은 드론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해 산불 감시를 촘촘히 하고,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자율순찰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