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엿'에 얽힌 오해와 숨은 진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자료사진)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어느덧 코앞으로 다가왔다.

아무리 시대가 변했다 해도 여전히 ‘수능선물’ 하면 대부분 엿을 가장 먼저 떠올리게 될 것이다.

지금도 수능처럼 큰 시험이 다가오면 엿을 주고 받지만 예전에는 대학교 교문이 엿으로 덕지덕지 도배가 될 정도였다.

이처럼 엿을 합격의 부적으로 여긴 것은 조선시대부터 이어져온 풍습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시험을 앞둔 수험생, 혹여 탈이라도 날까 음식 하나도 가려먹는 학생들에게 엿을 선물하는 것이 단순히 끈끈하게 달라붙는 성질 때문일까?

애석하게도 우리의 전통엿이 뇌에 필요한 영양을 가장 빠르게 공급하는 브레인푸드이자 시험으로 인한 긴장과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효능을 지닌 식품이라는 사실을 아는 이들이 많지 않다.

‘과거공부하는 집에서는 엿 고는 단내가 난다’는 속담이 있다.

엿이 합격의 부적으로만 쓰였다고 알기 쉽지만 몸에 좋지 않다면 예민한 수험생에게 이를 권할리 있을까?

그동안 알지 못했던 엿에 담긴 의미와 수험생에 이로운 구체적인 효능, 엿에 얽힌 오해와 숨은 진실에 대해 알아보자.

◈ 엿, 왕의 브레인푸드

한 나라를 책임지고 다스려야 하는 왕을 위해 왕실에서는 몸에도 좋고 뇌에도 좋은 음식을 엄선해 상에 올렸다.

특히 조선의 왕들은 새벽에 눈을 뜨자마자 이부자리 안에서 조청(물엿) 두 숟가락을 먹고난 뒤 학습을 시작했다고 한다.

이는 엿의 당분으로 잠든 뇌를 활성화시키는 과학적인 방법이다.

인간의 뇌는 엄청난 에너지를 소비한다. 뇌의 무게는 전체의 2%에 불과하지만 에너지 소비량은 20%에 육박할 정도. 이는 근육 전체가 사용하는 것과 맞먹는 양으로 뇌가 소비하는 에너지의 근원은 포도당이다.

엿의 단 맛을 내는 맥아당은 포도당 두 개가 결합된 것으로 포도당과 과당이 결합된 설탕보다 포도당을 두 배나 공급한다.

따라서 체내 흡수 속도가 빨라 먹는 즉시 두뇌 활동을 왕성하게 하는 에너지원이 된다.

<영조실록>을 보면 과거 시험을 치르는 유생들이 저마다 엿을 하나씩 입에 물고 시험장에 들어갔다는 기록이 나온다.

이 역시 시험 시간 동안 당분을 섭취해 집중력과 뇌 활성화를 높이려는 선조들의 지혜라 할 수 있다.

◈ 긴장으로 인한 복통엔 엿이 특효약

수험생을 가장 괴롭히는 것은 긴장으로 인한 스트레스다.

스트레스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장기는 위장으로 지나친 긴장이 위장을 압박하면 밥맛을 잃고 소화가 잘 되지 않아 속이 답답하고 꽉 막히는 증상이 나타난다. 흔히 말하는 ‘고3병’ 증세.

수능 당일 가장 당황스러운 순간은 갑자기 배가 아픈 것으로 한의학에서는 이를 ‘이급(裏急)’이라 하는데 ‘속이 급하게 고통을 호소한다’는 뜻이다.

엿의 가장 구체적인 효능은 바로 이런 배앓이 증상을 가라앉히는 것이다.

중국의 약물총서인 <중약대사전>을 보면 ‘엿이 비위의 기를 완화하고 원기를 회복하며, 진액을 생성하고 속을 촉촉하게 한다’고 기록돼 있다.

엿에 포함된 맥아당과 덱스트린 등의 성분은 정신적인 피로와 복통에 회복에 좋아 한의학에서는 엿을 ‘소건중탕’이라는 처방에도 썼다.

이는 만성피로와 복통에 주로 처방하는 것으로 엿이 소화장애와 배탈 증상 완화에 효과가 있다는 것은 오랜 시간에 걸쳐 입증된 사실이다.

◈ 기력을 보충하고 기침을 멈추는 엿

시험 시간, 그 중에서도 듣기 평가가 진행되는 중요한 순간에 기침을 멈추지 못해 콜록거리기라도 한다면 교실 내 수험생들의 ‘공공의 적’이 되고 말 것이다.

엿은 보리의 싹을 틔운 다음 이를 말린 엿기름(맥아)을 거른 물을 밥에 부어 당화시켜 장시간 고아 굳혀 만든다.

엿기름에는 빈혈과 당뇨 등 성인병에 좋은 생리활성물질이 풍부하며, 비타민B, 철분, 엽산 등 30여 가지의 효소와 시금치나 우유보다 몇 배나 많은 칼륨과 칼슘이 들어 있다.

엿의 단맛을 내는 맥아당에는 이 같은 곡류의 다양한 영양 성분이 녹아 있으며, 특히 기력이 없고 허약해 나오는 기침과 가래에 효과를 발휘한다.

선조들은 폐 기능이 약해져 기침을 많이 할 때면 배를 갈라 엿을 넣고 고아 먹는 민간요법을 쓰기도 했다.

병을 앓는 환자에게 단 음식을 권하는 것도 당분에 기력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 철썩 붙는 엿은 합격의 상징

왜 수많은 음식 중에 엿이 합격의 상징이 됐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예로부터 ‘복’과 ‘기쁨’을 뜻하는 음식이 엿이었기에 합격을 기원하는 의미를 주고 받았을 거라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철썩’ 달라붙는 엿의 끈끈한 성질을 합격 여부에 비유한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신빙성이 있다.

옛 생원들은 부인들이 밤을 새워가며 만든 엿을 수십일 동안 허리춤에 차고 한양까지 과거 시험을 보러 갔다.

주막집에 모인 유생들이 각자 부인이 고아준 엿을 꺼내 그 빛깔을 견줘 아내를 평가하는 습속도 있었다고 한다.

엿을 켜는 횟수가 많을수록 엿의 빛깔이 희어지므로 그 정성을 비교했던 것이다.

◈ 수험생 선물, 엿과 찹쌀떡의 차이는?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