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직거래가 세상을 바꾼다] 생산자 제값, 소비자 싼값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박근혜정부가 농산물 직거래 활성화를 통한 유통 혁신에 팔을 걷었다. 정부는 지난 5월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직거래 등 대안 유통경로 확산과 도매시장 운영의 패러다임 전환 등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생산자는 제값 받고 소비자는 더 싸게 사는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유통생태계 조성'에 정책적 노력을 쏟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는 창의적이면서도 자율적인 직거래 장터 운영을 확산시킨다는 취지 아래 농산물 직거래 장터를 연내 30곳을 추가로 개설하고 각종 지원사업을 벌이기로 했다. CBS가 지난 9월부터 농업인과 교회 소비자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농산물 유통비용을 크게 절감토록 하는 '착한 직거래 운동'을 펼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조사에 따르면 거미줄처럼 복잡하게 얽혀있는 국내의 복잡한 유통 단계는 엄청난 가격 거품을 불러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를 '루저'로 만드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조사에 따르면 현재 농산물이 산지에서 도심의 최종 소비자에 이르기까지는 5~7 단계의 복잡한 단계와 경로를 거치고 있다. 또 이는 고스란히 '유통비 거품' 발생으로 이어져 농민과 도시민을 힘들게 만들고 있다.

KREI가 지난해 발표한 '농산물 유통구조개선 사업군 재정사업 심층평가' 결과를 보면, 산지 농민이 292.4원에 판매한 배추는 산지유통단계(868.0원)→도매시장 법인(933.3원)→중도매인(1163.3원)을 거쳐 소매상(1400.0원)에 이르는 과정에서 가격이 3배가 넘게 뻥튀기 되고 있다. 평균 40~45%에 이르는 국내 농축수산물의 '유통비용률'(최종 가격에서 농가 수취 가격을 뺀 것) 수치에서도 이 같은 현상을 뚜렷이 엿볼 수 있다. 유통비용은 유통을 위해 들어가는 수송비·포장비·상하차비(이상 직접비), 임대료·인건비·이자(이상 간접비), 유통이윤 등의 제 비용을 말한다.

미국과 유럽, 일본 등 선진국가들이 일찌감치 농산물 직거래를 통한 유통혁신에 눈 돌린 이유다. 미국과 유럽 각국의 도시에서는 이른바 '파머스마켓(Farmer's Market)'이 열려 산지의 신선한 농산물이 싼 값에 도시민 가정에 직송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로컬푸드(Local Food)를 뜻하는 '지산지소(地産地消)' 등 운동을 통해 전국적으로 '동산물직매장'이 1만7000곳이 개설됐는데 이를 통한 판매금액이 연간 8800억 원이 넘는다.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