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후진국? 주요 백신 중 국내 생산은 8개 뿐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신종플루 사태 이후 백신 자급률을 높이자는 요구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자체 생산이 가능한 백신이 거의 없고, 대부분 해외 생산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김희국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필수예방접종·기타예방접종·대유행백신 등 28개 주요백신 가운데 국내에서 자체생산할 수 있는 것은 8개에 불과햇다.

종류별로는 필수예방접종백신 15종류 가운데 피내용 BCG,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DTaP), 성인용 디프테리아·파상풍(Td), 사백신 소아마비(IPV), 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MMR), 성인용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TdaP),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폴리오(DTaP-IPV), 폐렴구균 등 8종을 해외 생산에 의존했다.

생물테러와 감염병 대유행을 대비하기 위한 대유행·대테러 예방백신 4종 가운데서는 두창을 제외한 조류 인플루엔자와 탄저, 세포배양 인플루엔자 백신 생산이 불가능했다.

자궁경부암(HPV), 소아장염(Rota virus), 대상포진 백신 등 프리미엄 백신이라고도 불리는 기타예방접종백신 9종 가운데서는 국내 생산이 가능한 것이 단 한 종류도 없었다.

우리나라는 2020년 필수백신 93%, 기타백신 55%, 대유행 및 대테러백신 100%를 자체 생산한다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지만 향후 7년간은 백신 확보가 어려울 수 있고 실제 개발 상황에 따라 더 지연될 수 있는 상황이라고 김 의원은 지적했다.

김 의원은 "백신 자급률이 높지 않은 이유는 초기 투자비용이 크고 고난도 기술이 요구되는데 반해 국내 업체가 상대적으로 영세하기 때문"이라며 "국내 백신 개발 및 생산에 필요한 원천기술과 자본부족 문제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고 지적했다.

이어 "2009년 신종플루가 전 세계적으로 유행했을 때 백신 품귀 현상을 기억해야 한다"면서 "국민의 안전을 책임질 백신의 자급화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은 만큼 시급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충고했다.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