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특성화 전문대 육성 방안을 두고 대학들의 눈치싸움이 치열하다.
엇비슷한 학과들 속에서 두각을 드러내야 하는데다, 선정 기준이 되는 평가지표에도 변화가 예상되면서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교육부가 지난달 10일 발표한 전문대학 육성 방안에 따르면, 교육부는 내년에 70곳, 2017년까지 100곳을 특성화 전문대학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1개, 또는 2개 이상의 주력 계열을 두거나 평생직업교육·프로그램 단위 특성화 대학으로 운영할 수도 있다.
반면 100곳 안에 선정되지 못하면 사실상 '퇴출'을 의미한다. 문제는 특정 분야 쏠림 현상이 불가피하다는 것. 모처럼의 육성 방안이 반가우면서도 대학들 간 긴장감이 감도는 이유다.
실제 전문대들의 가지원 집계 결과 주력 계열을 2개 이상 두는 복합 분야에 전체 대학의 70% 이상이 몰린 것으로 알려졌다. 그중에서도 취업이 안정적이고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은 보건·의료, 이공계열과 같은 특정 학과에 집중되는 모양새다.
대전의 한 전문대학은 "주력으로 밀고 있는 학과가 타 대학과 겹치면서 어떻게 경쟁하고 차별성을 둘지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부 대학은 내부적으로 특성화 방향을 일찌감치 정하고 발 빠른 움직임에 나섰다. 학과 융·복합 등도 방안으로 논의되고 있다. 타 대학의 행보 역시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달라지는 평가 기준에 대한 발 빠른 대응도 관건이다.
현행 교육역량강화사업은 대학 취업률과 재학생 충원율 등 8개 항목을 중점적으로 평가했다. 반면 특성화 전문대학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기반한 교육과정과 현장 교육 등 '정성평가' 부분이 강조된다. 세부 사항은 이달 초쯤 발표될 예정이다.
1차 선정이 내년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기존 사업 '맞춤식' 운영을 해온 각 대학들은 당장 새로운 방향 설정이 고민이다.
한 전문대 관계자는 "교육역량강화사업과 일맥상통하는 부분도 있겠지만, 구체적인 안이 제시되지 않은 상황에서 어떻게 준비해야 될지 혼란스러운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대학에서는 "대학에 따라 특성화의 초점을 학과에 맞출 수도 있고, 특정 프로그램으로 잡을 수도 있는데 정확한 특성화의 개념, 각각에 대한 평가지표는 어떻게 되는 건지 교육부의 정리가 필요하다"고 말하기도 했다.
특성화에서 '배제되는' 학과들은 대학들이 안고 갈 또 다른 과제가 될 전망이다.
한 대학 관계자는 "장기적으로는 특성화학과를 제외한 나머지 학과를 사실상 구조조정하라는 것인데, 내부 구성원의 반발과 갈등을 어떻게 최소화할지도 걱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