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정부 언론재편은 ''정권 재창출'' 포석

종편에 특혜 주고 소셜미디에는 재갈 물리고..

보수성향의 종편채널이 무더기 출범한데 이어 소셜미디어에 대한 규제에 나서는 등 이명박정부의 언론장악이 갈수록 노골화하고 있다.

1일 조중동을 필두로 한 보수언론들의 종편PP들이 출범함으로써 이명박정부의 언론 재편정책이 일단락됐다.

정권 출범초부터 언론재편에 나선 정부는 4개 종편 채널을 친정부 성향의 4개 신문사에 나눠줬다.


공공재인 방송을 보수언론에 몰아줌으로써 우리사회의 언론과 여론의 편향성은 더욱 심해졌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정부가 내세운 명분은 방송산업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한다는 것이었지만 정권편향적인 언론환경 조성을 통해 보수의 기득권을 지키려는 의도 아니냐는 비판이 쇄도하고 있다.

특히,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보수정권을 이어가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방송재편을 추진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와관련해, 올해 초 최시중 방송위원장의 국정원장 기용설이 나왔을 때 이명박 대통령이 최 위원장 교체 불가 입장을 고수한 것은 이명박정부가 종편정책에 얼마나 큰 비중을 두고 있는 지 반증해주는 대목이다.

각종 특혜를 등에 업은 종편의 행태는 채널허가가 성장동력 창출에 있지 않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종편 출범 첫날 4개 언론사들이 내놓은 프로그램들은 하나같이 기존의 방송 콘텐츠를 답습한 것들이 대부분이었고 이를 뛰어넘을 만한 새로운 콘텐츠는 없었다. 또한, 방송산업 진흥을 통한 일자리 창출도 종편을 추진한 정부의 약속 가운데 하나였지만 1개 언론사당 500명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종편사들은 의무재전송과 독자광고, 황금채널 배정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모델을 확보한 반면 여타 언론들은 더욱 가혹한 생존경쟁에 내몰리고 있다.

광고시장의 규모가 한정돼 있는 상황에서 정부의 지원을 등에 업은 종편사들이 본격적인 광고영업에 나설 경우 1차적으로 지방언론과 중소방송의 타격은 불가피한 상황이고 기존 공중파 방송사들에도 피해가 미치게 될 것이란 것이 업계의 전망이다.

이런 사정 때문에 종편의 출범은 불원간 방송시장의 재편에 이어 미디어 시장 전체의 재편으로 이어질 것이란 관측이 나오는 것이다.

이명박정부의 언론장악 의도는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1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애플리케이션을 심의하는 전담팀 신설을 강행하면서 소셜미디어에 재갈을 물리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지난 지방선거는 물론이고 한미FTA 등 주요 현안이 대두될 때마다 소셜미디어는 정보전달의 루트로 언로로서 기능해 왔고 그 파괴력은 이미 입증된 바 있다.

전담팀 구성에 반대하던 야당측 위원들이 퇴장한 가운데 정부와 여당 위원들이 방통심의위 사무처 직제규칙 개정을 강행하자 트위터와 페이스북 공간에서는 여론검열이라는 비판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이명박정부가 종편채널을 통해 보수언론의 기반을 강화하는 한편으로 소셜미디어에 대한 검열에 나서면서 갈수록 국민과의 소통은 외면하면서 언론과 언로에 대한 장악의도를 노골화하고 있는 것이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