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지하철 2호선, 41km로 확장 2022년 완공

2호선 노선, 종합 터미널과 풍암지구 제외…전남대와 첨단·수완지구 포함

광주 지하철 2호선 노선이 애초 노선에서 버스종합 터미널과 풍암지구 등이 제외되고 전남대와 첨단.수완지구 등이 포함된 41km로 확정.고시됐다.

국토해양부는 광주도시철도 2호선 기본계획변경을 국가도시교통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29일 확정.고시한다고 광주광역시는 28일 밝혔다.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은 애초 사업기간이 2008년부터 2019년에서 2011년부터 오는 2022년까지로 12년 간 3단계에 걸쳐 운행노선도 27.4km에서 41.7㎞로 확장.시행하는 것으로 변경됐다.

차량기지도 애초 효천역 일원 1곳에서 효천역과 서구 유촌동 일원 등 2곳으로 변경됐고 정거장은 44군데가 설치된다.

특히, 광주 지하철 2호선 노선은 애초 효천역에서 백운광장~남광주역,~서방사거리~광주역~동운고가~버스종합 터미널~시청신청사~풍암지구~백운광장까지에서 터미널과 풍암지구가 제외됐다.


이에 따라 변경된 2호선 노선은 시청에서 운천역~금호지구~월드컵 경기장~백운광장~효천역~남광주역~광주역~전남대~첨단지구~수완지구~시청으로 변경됐다.

정거장 정차시간을 포함한 2호선의 속도는 38.8㎞/hr로 첨단에서 백운광장까지 약 30분이내에 도착할 수 있으며, 1호선과의 연계를 위한 환승역은 운천역과 남광주역으로 계획됐다.

지하철 2호선 건설방식은 경량전철로 기존 대도시 지하철인 중량전철보다 건설비용이 저렴하고 무인운전으로 유지운영비, 저공해 환경 친화성으로 신교통수단으로 주목을 받는 시스템이다.

시는 도시철도 2호선 건설이 완공하면 1호선과 환승에 따라 시민의 지하철 이용률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대중교통서비스의 추가 제공으로 대중교통서비스 증진과 교통혼잡 구간의 교통난 완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앞으로 광주광역시는 도시철도, 교통, 재정, 환경 등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2호선 건설방안연구 전담조직인 T/F팀''''을 만들어 건설방안 검토 및 여론수렴 등을 거쳐 추진할 계획이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