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사형수 데이비스 최후까지 결백 주장

미국 조지아주에서 많은 논란 끝에 21일(현지시간)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 사형수 트로이 데이비스(43)는 최후의 순간까지도 결백을주장했다.

데이비스는 지난 1989년 조지아주 남부 서배너시내에서 한 노숙자를 권총으로 마구 때리며 공격하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마크 앨런 맥파일 경관에게 총격을 가해 살해한 혐의로 기소돼 사형을 선고받았다.


데이비스는 그동안 국제적인 사면운동과 사형제 폐지 논란 속에서 형 집행이 미뤄져 왔으나 22년 만인 21일 밤 11시8분 조지아주 잭슨의 주 교도소에서 사형이 집행됐다.

데이비스에 대한 형 집행은 애초 이날 저녁 7시로 예정됐으나 연방대법원이 잠시 법률적 검토를 위해 보류하는 바람에 4시간 미뤄졌다.

데이비스는 형집행 직전에도 "피해자인 맥파일 경관 유족들에게 `유족들이 처한상황은 잘 알지만 나는 여러분의 아들이자 아버지 또는 형을 개인적으로 죽일 사람이 아니다. 정말 결백하다''고 말하고 싶다"며 결백을 주장했다.

데이비스는 이날 형 집행에 앞서 마지막 가족들과의 면회에서도 결백을 계속 주장했다.

그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3시까지 약 4시간 동안 진행된 면회에서 여동생인 킴벌리와 조카 및 3살된 질녀를 만나는 동안 침착한 표정을 지었다.

킴벌리는 22일 ABC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오빠는 면회가 끝나갈 무렵 우리에게 `고개를 들고, 좀 더 강력해져라. 조지아 주정부가 사형을 집행해도 내 육체는 빼앗아갈지언정 영혼까지 빼앗아 가지는 못한다''고 말했다"면서 "오빠는 이어 `나는 자유의 몸이 되기를 바랐는데 이제야 자유롭게 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가족면회 시간에 데이비스의 세 살된 질녀는 발레신발을 보이며 `발레리나처럼 발 끝으로 서보라''고 농담을 하기도 했고, 이어 잠시동안 발레 동작을 보이기도 했다. 데이비스는 다른 조카에게는 늘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하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목격자들은 사형집행장에서 첫 번째 독극물 주사가 주입되자 데이비스의 눈이 떨렸으며, 곧바로 의식을 잃었다고 전했다. 주사 주입 절차는 모두 15분밖에 걸리지않았다.

데이비스에 대한 사형집행이 이뤄지기 전인 21일 낮 워싱턴 D.C.의 백악관 앞과조지아주 잭슨의 교도소 앞에서는 사형집행에 반대하는 집회와 시위가 열리기도 했다.

잭슨의 조지아 주 교도소에서 열린 집회에는 데이비스의 조카인 앤서니(17)가 애틀랜타 시내에 있는 유명 흑인 대학교인 모어 칼리지를 출발해 교도소까지 이동해온 항의시위대에 동참하기도 했다.

항의시위대는 "나는 트로이 데이비스"라고 쓴 티셔츠를 입고, "너무 많은 의혹이 있다"고 쓴 피켓을 들고 시위를 벌였고, 형 집행이 잠시 연기됐다는 뉴스에는 환호하다가 결국 형이 집행됐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울먹이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한편 피해자인 맥파일 경관의 유족들은 데이비스에 대한 형집행에 대해 정의가 이뤄졌다며 만족감을 보이면서도 데이비스 가족을 위해 기도하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