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은 기본적으로 재계의 이익을 대변하는 모임이긴 하지만, 경제 발전과정에서 청사진을 제시하며 산업전반의 성장을 이끌어왔다. 60년대에는 수출산업공단과 종합무역상사 등의 설립을 정부에 건의하며, 정부의 경제재건 정책에 적극 협력했다. 70년대에는 은행 민영화를 시도하고, 80년대에는 ''''국가경쟁력 강화위원회''''를 구성해 달라진 노동환경에 대응했다. 90년대 들어서는 ''''사회공헌위원회''''를 구성해 고조되는 기업의 사회공헌 요구에 호응했다.
전경련은 그러나 10여년 전부터 주요 대기업 회장들이 수장 자리를 기피하면서 활동이 크게 위축되는 어려움을 겪었다. 재계의 입장을 제대로 대변하지 못한 채 극심한 무력감에 시달리기도 했다. 10대 그룹 회장인 허창수 GS 회장이 지난 2월 취임하면서 전경련이 활력을 되찾을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아직은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 전경련이 제 역할을 하기는커녕 자기 이익 챙기기에만 급급하다는 지탄을 받고 있다. 구체적인 사례로, 재벌의 일감 몰아주기를 통한 부의 편법적 대물림, 소모성 자재 구매대행 사업,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성장 등이 최근 사회적 쟁점으로 부각됐지만,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반 대기업 정책 입법을 막는답시고 정치인 로비 명단이나 작성하는 추태를 부려 눈총을 받았다. 몇몇 고위 임원이 주요 보직을 꿰차는 등 전횡을 일삼고 있다는 비난도 터져나온다.
이제 전경련은 위상과 역할을 새롭게 정립해야 할 때가 됐다. 지난 반세기의 발자취를 점검하면서,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고 조직을 쇄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이명박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제시한 ''''공생발전'''', ''''상생번영'''', ''''자본의 책임''''을 향한 선도적 역할을 감당해야 할 것이다. 그럴 때만이 전경련은 실추된 이미지를 회복하고, 새로운 50년의 역사를 써나가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