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사업 대응 하천환경 공동조사단''과 함께 낙동강 살리기 공사 구간을 최근 다시 돌아봤다.
지난 19일 경북 구미시 선산읍 낙동강의 지류인 감천 하류는 강의 지류에서는 좀처럼 들을 수 없는 거대한 폭포소리로 요란했다.
낙동강과의 합류지점 100여m 앞에서 폭포음과 함께 모습을 드러낸 것은 나이아가라폭포를 닮은 수직 지형이었다.
워낙 물살이 세다보니 50㎝ 정도의 모래층은 쓸려 내려간 지 오래된 듯 했고 그 아래 두께를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로 두터운 진흙층도 엿판처럼 쩍쩍 떨어져 나가고 있었다.
낙동강 준설작업 등을 위해 낙동강의 제1지류 한 가운데에 도로를 내느라 임시로 묻은 대형 콘크리트관 때문에 생긴 지형이기도 하지만 낙동강 본류를 워낙 깊게 파다보니 발생한 기현상이기도하다.
관동대 박창근 교수는 "이런 침식은 하천의 지류와 본류의 수위 차이가 안정화가 될 때까지는 계속 진행될 수밖에 없다"며 "침식이 가중되면 제방쪽에도 영향을 가해 홍수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 보다 하류쪽 제방은 이미 수 십m가 주저앉았다.
이곳으로부터 북쪽으로 40분 거리의 경북 상주시 중동면 말지천 하류도 황당한 모습이었다.
멀쩡한 하천의 한쪽 선을 따라 흙으로 메워 새로 낸 수 백m의 도로가 펼쳐져 있었다. 왼쪽으로는 말지천의 물이 흐르고 오른쪽으로는 대형 덤프트럭이 다니고 있었다. 이곳은 돌고기, 동사리 같은 어종이 많은 낙동강의 주요 지천 가운데 한 곳이다.
한갓 준설토를 실어 나르기 위해 너무도 대담하게 생태하천을 밀어버린 건데 지류를 본류의 배설물 처리장 정도로 보는 건 아닌지 의심스러웠다.
다시 이곳으로부터 북쪽으로 30분 거리인 경북 예천의 낙동강과 공덕천이 합류하는 지점의 제방은 제방이며 강바닥이 돌로 발라져 있었다.
본류와 지류의 낙차가 커져서 물이 합류할 때 제방이 쓸려나갈 걸 우려해 염치불구하고 돌 망태기로 깔아놓은 것이었다.
녹색연합 황인철 팀장은 "강바닥의 모래를 걷어내고 돌이나 콘크리트로 덮다보면 수온 상승 효과로 수많은 생물들이 살기 어려워진다"며 "생태계 교란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