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청 경관 안건 ''보류'' 파장

경제자유구역 5개 지구 18개 단지에 대한 기본 계획 담고 있어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청 조합회의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청 조합회의(이하 조합회의)가 경제자유구역청이 제출한 ''경관관리규정 안''이 부실하다며 ''보류'' 결정을 내리면서 파장이 일고 있다.

조합회의는 28일 임시회에서 "경관관리 규정안''에 대한 제안 설명을 들었지만 다른 안건처럼 의결하지 않고 심의만 한 채 ''보류''했다.


보류한 안건은 11월 임시회에서 다시 심의한다.

조합회의가 보류한 경관관리안은 경제자유구역 5개 지구 22개 단지 가운데 18개 단지에 대한 기본 계획을 담고 있다.

5개 지구별로는 ''광양지구''는 항만 배후 습지와 해안선을 연계한 친수 공간, ''율촌지구''는 워터 프론트 가로 조성과 친환경적 산단 조성, ''신덕지구(순천 신대지구와 광양 덕례지구)''는 국제문화단지 조성, ''화양지구''는 이국적 휴양 도시 이미지 형성 등이다.

경제자유구역청의 이런 경관관리안은 그러나 이미 각 시군이 만들었거나 만들려고 하는 방법과 상당 부분 겹친다.

더구나 올해 완공한 여수 ''이순신 광장''이 광양지구나 율촌지구에 들어가는 친수 공간이나 워터 프론트와 같은 개념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신덕지구와 화양지구도 똑같이 ''이국적''이란 장밋빛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조합회의 위원인 경남 하동 출신 도의원도 이날 임시회에서 이런 점을 지적했다.

또 조합회의 위원인 서동욱 전라남도 의원은 "경관관리 안에 ''주민 경관 협의회''가 있는데 건물 높이 제한 등 소유권에 많은 제약을 받을 주민들과 난항이 뻔하다"고 우려했다.

서 위원은 이와 함께 향후 의무적으로 ''경관위원회''를 구성하게 되는 데 "현재 있는 ''경관협의회''가 ''기능적'' 측면에서 과연 필요한 협의회인지 의문"이라고 강조했다.

조합회의 의장인 송대수 전라남도 의원은 심지어 경관관리안의 문구조차 문제 삼았다.

송 의장은 경관관리 안에 ''다이나믹''이란 용어를 ''역동적인''으로 바꿀 수 없느냐고 물었고 경제자유구역청 측은 "요즘에는 공문에도 외래어를 사용하는 추세"라고 밝혔다.

결국 송 의장은 최종만 경제자유구역청장에게 경관관리안이 그렇게 급한 것이 아님을 확인한 다음 다른 위원들의 만장일치로 ''보류''를 결정하고 11월 임시회로 다시 넘겼다.

경제자유구역청 측은 "경관관리안을 제정하면서 전라남도·경상남도와 각 시군 조례를 참고했기 때문에 중첩될 수 있다"며 "미진한 부분을 보완해서 안건을 다시 제출할 것"이라고 전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