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민영화 방안 발표가 이뤄진 가운데, 우리금융그룹이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우리금융이 곤혹스러운 것은 다름 아니라, 우리금융 민영화에 대한 은행 고객들의 오해 때문.
과거, 구제금융시대의 은행이 인수합병 될 때를 기억하는 장년층 고객들이 은행을 찾아와 예적금 환급을 요구하는 일이 잦아진 것이다. 이 때문에 은행 창구에서 다른 고객에게도 불안감이 전파되고 있다는 것이 우리은행의 설명이다.
우리금융에 따르면, 정부 당국의 민영화 방안 발표 이후 우리은행 창구에서는 예금인출 사례가 전국적으로 잦아졌고, 경남과 광주 등 지방은행에서는 정도가 더 빈번하게 일어나는 상황이다.
우리금융 민영화는 정부당국의 공적자금 회수 방침으로 이뤄진 것으로 과거 부실은행의 인수 합병과는 성격이 다르지만, 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창구를 찾아 예금을 찾아가겠다는 고객들이 늘자 우리금융 측이 크게 당황해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내부적으로 우리금융의 사기도 떨어지고 있다.
우리 금융 관계자는 "고객이 예금을 빼내가는 사례를 봤다는 이야기가 들려오고 직원들에게 ''괜찮냐''는 우려 섞인 안부 전화를 받을 때도 있어 상당히 자존심 상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는 우리금융 민영화 관련해서 합병 대상이 ''하나금융그룹''이 거론되는 것도 한 몫을 하고 있다는 것이 금융권의 분석이다.
합병의 유력한 후보로 떠오른 하나금융지주의 경우는 자산 규모로 보면 상당한 차이가 나는데, 세간에서는 우리금융이 ''덩치가 작은'' 하나금융에 ''인수''되는 것으로 보도되자 우리금융 직원들이 발끈하고 나선 것 아니냐는 해석이다. 사실이든 아니든 우리금융의 심기가 불편한 것은 부인할 수 없어 보인다.
곤혹스런 우리금융은 5일 우리금융 ''인수''라는 말에 대해 공식적인 정정을 요구하고 나섰다.
우리금융그룹은 이날 자료를 배포해 "타 금융그룹이 우리금융 민영화에 참여할 경우 인수가 아닌 합병방식으로만 가능하며, 합병도 어느 일방이 상대방을 지배하는 것이 아닌 상호 대등한 지위에서 행해지는 것"이라며 "''''인수'''' 표현을 지양하고 ''''예보 보유지분 매각'''', ''''민영화 참여'''', ''''(대등)합병'''' 등으로 표현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한편,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우리금융이 예상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 같다"면서 "고객 예금 인출보다는 우리금융 경영진이 민영화 과정에서 주도권을 가지려는 것 아닌가라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