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4차 발사 성공…민간 주도 '뉴스페이스 시대' 연다[영상]

누리호 발사 데이터 분석 결과 브리핑
발사시간 0시 55분에서 1시 13분으로 늦춰졌지만 성공적으로 발사
목표 고도 600km 도달, 탑재위성 분리 성공…우주 수송능력 입증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7일 2시 40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프레스룸에서 열린 누리호 4차 발사 결과 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항우연 제공

최초의 민간 주도로 제작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의 4차 발사가 성공적으로 진행됐고, 탑재된 위성들이 안정적으로 궤도에 안착했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발사 결과 브리핑에서 "1시 13분에 발사된 누리호의 4차 발사가 성공했고, 1시 55분 차세대중형위성 3호의 신호 수신도 확인했다"고 밝혔다.

배 부총리는 "누리호 4차 발사 성공은 대한민국이 독자적인 우주 수송 능력을 갖췄음을 다시 한번 입증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정부와 민간·국가연구소가 하나의 팀이 되어 수행한 최초의 민관 공동 발사로서 우리나라 우주산업의 생태계가 정부 중심에서 민간 중심으로 전환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이 27일 2시 40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프레스룸에서 열린 누리호 4차 발사 결과 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항우연 제공

동석한 윤영빈 우주항공청장 또한 "발사체 본연의 역할인 위성 발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관련 기술을 확보했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제작 총괄을 주관하고 발사 운용에 참여해 역할을 완수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누리호는 기술적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2027년까지 두 차례의 비행이 예정돼 있다. 윤 청장은 "누리호 개발의 경험과 기술을 토대로 누리호보다 성능이 향상된 차세대 발사체 개발을 추진해 대한민국 우주개발 역량을 더욱 높여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상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이 27일 2시 40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프레스룸에서 열린 누리호 4차 발사 결과 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최원철 기자

이번 누리호 4차 발사는 대부분 완벽하게 진행됐다. 이상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은 "누리호는 발사대에서 이륙 후 약 122초, 고도 65.7km에서 1단 분리 및 2단 점화를 진행했고, 약 230초, 고도 211km에서 상부 페어링을 분리했다. 약 263초가 지난 시점에는 2단 분리 및 3단 점화를 진행했고, 목표 고도인 600km 궤도에 성공적으로 도달했다"고 전했다.

그는 "주 탑재체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는 궤도 도달 후 약 50초 뒤 분리됐고, 이후 부 탑재체인 큐브위성 12기는 약 100초에 걸쳐 두 기씩 분리됐다"고 설명했다. 박종찬 항우연 고도화사업단장은 "탑재 위성의 분리 시 고도는 601.3km였다"며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기준을 만족했다"고 밝혔다.

누리호 동체에 연결된 암에서 연료 주입이 진행되는 모습.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ARI TV' 유튜브 영상 캡처

하지만 모든 과정이 순탄했던 것은 아니었다. 당초 누리호의 발사 시간은 0시 55분으로 확정됐지만, 발사 직전 엄빌리칼 회수 압력 센서에 이상이 감지돼 1시 13분으로 연기됐다. 이에 대해 박 단장은 "누리호가 리프트오프(발사)하는 과정에서 연료를 주입하는 암(arm)을 뒤로 밀어주는 압력이 필요한데, 4개의 암 중 1개의 압력 센서에서 이상이 발견돼 확인이 필요했다"며 "최대 발사 가능 시간인 1시 14분까지 남은 시간 중 13분으로 미루게 됐다"고 설명했다.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27일 1시 13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다. 항우연 제공

발사 시간이 지연되자 국제우주정거장(ISS)과의 궤도 간섭 문제도 제기됐다. 앞서 누리호 4차 발사 사전 브리핑 당시 항우연은 "1시경 발사 시 ISS와의 궤도 간섭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되도록 1시 이전 발사를 목표로 한다"고 밝힌 바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박 단장은 "ISS는 임무에 따라 궤도가 변하기 때문에 발사 1주일 전, 하루 전, 8시간 전에 ISS 궤도를 분석한다"며 "최근 분석 결과 1시 14분까지 200km 이내로 근접하지 않는 것을 확인해 발사를 진행했다"고 말했다.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가 27일 2시 40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프레스룸에서 열린 누리호 4차 발사 결과 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최원철 기자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는 "우주는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하고 산업 측면에서도 많은 기관들이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며 "중요한 건 독자 발사체가 있어야 실현할 수 있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발사체가 경제성을 갖는 것도 중요하지만, 해외에 의존해서는 독자적 우주개발을 할 수 없다"며 "이 부분에 강하게 드라이브를 걸 것이고, 현재는 누리호를 하고 있지만 차세대 발사체나 또 다른 발사체도 고민하고 있는 만큼, 상업적 관점과 함께 우주 발사 능력의 지속 유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