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서 동포와 '타운홀미팅'…李 "나라의 주인"

튀르키예를 국빈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25일(현지시간) 앙카라의 한 호텔에서 열린 동포·지상사 간담회에서 화동으로부터 꽃다발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튀르키예를 국빈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마지막 현지 일정으로 동포, 지상사 간담회에 참석했다.
 
앙카라 시내의 한 호텔에서 열린 이번 행사는 기존의 순방 때 이뤄지던 간담회와 달리 현지 교민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내용까지 모두 언론에 공개하는 이른바 '타운홀미팅'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 대통령은 "튀르키예와 대한민국은 특별한 관계로, 앞으로 서로 의지하고 협력하며 함께 갈 예정"이라며 "교민들은 대사보다 더 중요한 대한민국의 얼굴"이라고 타국과 같이 '교민 외교관'론을 강조했다.
 
이어 "대한민국 국민은 5200만명, 교민들까지 하면 6천만명이다. 국민 한 분, 한 분이 다 우리나라의 주인"이라며 "오늘은 하고 싶은 얘기를 다 하시도록 기회를 드리겠다"고 선언했다.
 
그러면서 공개 부분이 마무리된 탓에 현장에서 나온 취재진을 향해 "언론인들도 다시 들어오시라"며 직접 토론에 나설 뜻을 밝혔다.
 
튀르키예를 국빈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25일(현지시간) 앙카라의 한 호텔에서 열린 동포·지상사 간담회에서 참석자 소개에 박수를 치고 있다. 연합뉴스

이어진 토론에서는 이날 행사에 참석한 140여명의 교민들로부터 각종 질문이 쏟아졌다.
 
한국전 참전용사 기념사업회 회장이라고 밝힌 한 교민은 "참전용사 중 실종된 분이 890여분이다. 생존해 돌아온 분들과 동일하게 훈장과 표창장을 주면 좋겠다"고 건의했고, 이스탄불과 논의 중인 참전용사 추모 공간 건립 또한 살펴달라고 부탁했다.
 
다른 참석자는 "'혼인비자'로 튀르키예에 입국을 했는데, 현지인인 배우자가 사망하거나 이혼을 할 경우에는 15일 안에 튀르키예를 떠나야 한다"며 해당 규정의 개선을 당부했다.
 
현지의 한국어 열풍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국어 교수들의 노동비자 발급 원활화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튀르키예를 국빈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25일(현지시간) 앙카라의 한 호텔에서 열린 동포·지상사 간담회에서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대통령은 추모공간과 관련해서는 "대사관에서 챙겨 달라"며 "건설비용 등은 본국에서 지원해 줄 수 있을지 검토해달라"고 지시했다.
 
비자와 관련해서는 튀르키예가 "모든 국가에 적용하고 있는 시스템인 만큼 한국 교민들에 대해 특별히 제도를 바꾸기가 쉽지는 않다"면서도 "튀르키예 대통령이 '대한민국은 형제의 나라'라고 했으니 예외 검토를 요청해보겠다"고 답했다.
 
튀르키예를 국빈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앙카라 한국공원 한국전 참전 기념탑에서 헌화를 마친 뒤 참전 용사와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앞서 이 대통령은 이날 김혜경 여사와 함께 앙카라 한국공원을 찾아 한국전 참전 기념탑에 참배했다. 해당 행사에는 튀르키예 측에서도 군 총사령관과 국방부 장관, 참전용사협회장 등이 참석했다.
 
생존 참전용사 4명과 유족 13명도 함께 했는데, 이 대통령은 "감사하다"며 "튀르키예 땅에서 뵙게 돼 정말로 기쁘게 생각한다"고 사의를 표했다. 튀르키예는 한국전쟁에 참전한 16개 유엔 참전국 중 4번째로 많은 병력을 파병했다.
 
이 대통령은 전날 양국 정상회담에서 "튀르키예는 '형제의 나라'이며 양국은 '혈맹'"이라고 말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