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남구가 '마을버스 폐지 위기 대응'을 명분으로 농촌 벽지 주민을 대상으로 무료 셔틀버스를 운영하고 있지만 정작 해당 마을버스는 여전히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광주 남구가 내년 지방선거를 의식해 선심성 사업을 펼치는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광주 남구는 지난 10일부터 농촌 지역인 대촌동에서 효천동을 거쳐 봉선동, 남구청을 잇는 무료 셔틀버스 2대를 하루 11차례 운행하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남구는 이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하기 위해 용역 회사에 요청할 '과업지시서'를 일주일 만에 급하게 작성했다. 과업지시서에는 '715번 노선의 휴·폐업 이후 무료 셔틀버스를 투입해 운행한다'는 조건이 명시돼 있다.
하지만 마을버스 715번은 여전히 운행을 이어가고 있다.
마을버스 715번을 운영하는 지상용 나라교통 대표는 "적자가 심해 1년 휴업을 신청하려고 했으나, 버스 운전원들이 갑자기 일자리를 잃게 되는 것을 우려했다"면서 "결국 휴업 신청을 철회하고 횟수를 줄여 운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처럼 715번 마을버스가 운행하는데다, 마을버스 운행 중단에 대비해 광주시가 대촌70, 대촌171번 버스의 노선과 시간표를 변경했음에도 남구는 엉뚱한 명분을 내세워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하고 있는 셈이다.
특히 남구가 운행 중인 무료 셔틀버스의 노선은 715번 마을버스 노선과 중복돼 과업지시서와 정면으로 배치되는 행정을 펼치고 있다.
이러다 보니 무료 셔틀버스 운행의 근거가 된 과업지시서가 부실하게 작성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남구의회 한 의원은 "과업지시서에 노선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아 상황에 따라 임의로 변경되고 있다"며 "4800만 원의 예산이 투입된 셔틀버스가 사실상 혈세 낭비가 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노선 설계 역시 현실성 검토 없이 추진된 데다, 주민 편의보다 선거를 앞둔 선심성 의도가 깔린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지울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 "이번 사안은 단순 행정 착오가 아니라 예산 타당성, 계약 적정성, 노선 중복 여부 등 핵심 쟁점이 얽혀 있어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다"며 "오는 12월 행정사무감사에서 반드시 다뤄야 할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남구는 이른바 '구청장의 쌈짓돈'으로도 불리는 기획실 집중관리 예산 4800여만 원을 들여 교통약자 편의를 높이겠다며 무료 셔틀버스 사업을 시작했다.
그러나 기존 마을버스가 운행하는 상황에서도 일부 중복되는 노선으로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하면서, 남구가 주민혈세를 들여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선심성 사업을 펼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일고 있다.
이와 관련해 남구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서울 성동구의 공공기관 연결 셔틀버스 활성화 사례를 참고해 추진한 것이다"면서 "당시 715번 측이 보조금 없이는 운행이 어렵다는 입장을 밝히자, 해당 노선이 지나던 구간을 중심으로 코스를 설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 셔틀버스는 공공기관을 순환하는 구조여서 시내버스나 마을버스와 직접적으로 노선이 겹친다고 보긴 어렵다"고 해명했다.